2009년 10월 4일 일요일

사제 HID를 장착하는 건 양아치나 하는 행동이다.

양카 세 마리.

 

과거의 부끄러운 사진 하나..우측부터 6500K 4200K 3000K HID를 장착한 차량 세대.

당시에는 저게 멋진 것 이고, 전조등 조사 각도를 맞추었으니 우린 양심적인 매니아야! 라고 착각하고 있었지요.

 

그렇게 작년 초반까지 양카로 살았지요.

무슨 변명을 해도 양카는 양카 입니다, 타인에게 피해가 가던 어쨌던 그저 내가 잘 보이려고 한 것 이니까요.

 

헌데 요즘도 그런 양카들은 상당히 많습니다, 아마 지금 제 글을 읽는 분 중에서도,

이 주제에 대해서 자유롭지 못해서 거북해 할 분들도 있을 것이라 생각 합니다.

 

하지만 어차피 제 블로그 이니 전 제 마음대로 솔직히 글을 써 내려가 보려 합니다.

 

HID 정말 편하고 좋은 편의 장비이자, 능동적인 안전 장비 중 하나 이며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그것에는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오토 레벨링 디바이스[auto leveling divice-조사각 자동조절장치]가 장착되어야 한다는 것

헌데 이 자동 광축 조절 장치는 HID를 사제로 장착하는 것 보다 적게는 3, 크게는 10배정도 비용이 듭니다.

더욱이 장착 역시 쉽지 않고요. [구조변경이 가능한 부분이기는 한데, 실제로 통과한 경우는 모르겠네요.]

 

그래서 사람들은 그저 뽀대를 위해서, 눈이 안 보인다는 변명으로, 구조변경이 너무 어렵다는 이유로..

그냥 불법으로 장착하고 타인의 불편이 있건 말건, 그대로 돌아다니지요 .WW

 

요 며칠 차창 넘어 도로를 바라보니, 정말 많은 차량들이 불법 HID를 달고 파랗고, 보라 빛 자극적인 광채를

뽐내고 있더군요, 옆에서 보는 제가 봐도 눈이 불편한데, 대향 차 들은 오죽했을까요?

 

아직도 많은 자동차 동호회에서 불법인줄 뻔히 알면서 HID를 공동구매 하고 공공연하게 유통시키는데

제대로 된 동호회가 되고, 자동차 마니아들이 진정한 권익을 위한다면 그런 것은 지양 해야겠지요.

 

제 과거의 모습도 부끄럽지만, 아직도 그런 추한 행동들을 멋으로 생각 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에

씁쓸함을 느끼며 글을 써 봅니다.

 

남을 배려 하고, 국내 자동차 규제에 대해서 불평 불만 하기 전에, 나 자신을 되돌아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p.s 가끔 눈이 어두워서 HID아니면 안보인다는 분들이 있는데,
도로교통법 45조 1항 : 두 눈을 동시에 뜨고 잰 시력이 0.8 이상이고, 양쪽 눈의 시력이 각각 0.5 이상일 것[교정시력 포함-1종]
정상! 적으로 면허를 취득하였다면 당연히 문제가 없는 것이고, 그게 아니라면 운전면허 박탈 사유 라는것 알고 계시길.

댓글 12개:

  1. 아!도로교통법에 저런것이있었군요.

    그리고 요즘들어 상향등으로달리는 사람들이 많더군요. 심지어 주간에도 그래요. HID던 아니던 상당히 눈이

    아파서...엉엉

    즐겁고 행복한 추석 되세요.^^

    답글삭제
  2. @RoyGoodMan! - 2009/10/03 02:30
    어익후~ 이렇게 이른 시간에^^;; 명절 잘 보내세요~ ㅋ

    그리고 도로 교통법은 생각보다 세심하더군요..ㅋ

    답글삭제
  3. 우리나라는눈어두운사람이너무많어2009년 10월 3일 오후 11:00

    길가다 보면 너무 많아요~특히 뒤에서 저런거 달고 오면 눈이 부셔서 미칠거 같음~그리고 언덕배기에서 키고 내리오면 안보여서 할수없이 서야 하는경우도 많고

    답글삭제
  4. @RoyGoodMan! - 2009/10/03 02:30
    상향등 켜놓고 달리는 사람들에....

    요즘은 왜 다들 맑은 날에 안개등을 켜고 달리는지...

    안개등에 마주보고 달리는 차들은 눈이 얼마나 피곤한지 전혀 신경들을 안쓰는 모양 입니다...

    제발 시야 불량일때에만 안개등을 켰으면 하는 마음 입니다.

    답글삭제
  5. 정말 자기만 생각하니..2009년 10월 4일 오전 11:21

    불법 에이차이등 상향등보다 무섭게 눕시더군요..다른에이차이등 장착차가가 뒤에따라오면 뭔가 느껴지는게 없나봅니다.

    앞만보고 달리는건지,야간에 시내 훤하다고 라이트도 안켜고 달리는 운전자들도 답답하기는 매마찬가지..어휴답답!~!

    답글삭제
  6. 근데 말이지.. 광축 조절장치는 사람들의 눈 높이에 맞추는 장치가 아닌걸로 알고있어.

    언덕길 운전시에 좀 더 멀리 잘 보이게 해서 오히려 더 눈을 찌른다지 -_-

    ..광축조절장치 운운은 핑계랄까..



    순정 HID 초창기에 나온 XG 같은건 광축 조절장치가 없고, 내 차(S2000)도 광축조절장치가 없어.

    어디까지나 그건 단속하기 위한 핑계라고들 하더라고..

    실상은 그 차이가 안난단 말이지 -_-



    뭐 나야 원래 까놓고 양카, 까놓고 폭주족이긴 했지만,

    HID 에 관련된 부분은 현재 법규가 문제가 많다는 쪽에 한표.

    (오랫만에 태클 댓글)

    답글삭제
  7. @S2000아저씨 - 2009/10/04 13:41
    요즘 감이 좀 약해지신거 같아요...ㅋㅋ 그정도가 테클로 받아들여지지 않음...ㅋ

    보통 HID가 노멀로 장착된 차량들의 경우는 과거 오토레벨링 디바이스가 없었던 경우도있습니다.[과거]

    또한, 현행 법규중 HID를 규제 하지 않는 나라에서는 당연히 필요 없구요..ㅎㅎ

    제대로 작동되는 오토레벨링은 대향차에 대한 피해를 최대한 경감 시킵니다, 최대한이지 절대는 아닙니다..ㅎ

    고로, 현행 법이 현실을 못 따라 간다는 대에는 동감하지만, 마구잡이로 장착하고 다니는 HID는 양카가 맞다는게

    제 생각 입니다.ㅋ

    답글삭제
  8. 저는 약간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법으로 좀더 세밀하게 제한을 해야한다고 봅니다..

    HID이든 할로겐이든 전구의 종류 또는 순정품인지 사제품인지를 구분하지 말고

    전력사용량, 밝기, 산란도, 색상 등등의 구체적인 사항으로

    각각의 사항에 대한 최대,최소치를 정해놓고

    그에 적합한 제품은 구조변경을 득하여 사용할수 있게 해야한다고 봅니다..

    광축조절장치가 만능이 아니기때문에 순간적인 움직임에는 있으나마나이죠..

    이런 순간적인 움직임에 의한 눈부심은 할로겐도 다를바가 없다고 생각하고요..

    HID가 할로겐보다 눈부심이 더 크다지만 앞이 안보이는것은 같죠..ㅎㅎ

    답글삭제
  9. 저 역시 HID 불법장착이 좋아 보이지 않지만 합법적인 구조변경이 거의 불가능 하다는데 문제가 더 크다고 봅니다.

    HID를 합법적으로 달아보자는 생각으로 알아보니 그나마 제차는 옵션으로 HID가 있는 차종이라서 구조 변경이 가능하며 이미 구조 변경 하신분도 있습니다. 저 역시 준비중 하지만 순정 HID 부품에 오토 레벨링 센서까지 부품값에 조변경 작업 공임에 구조변경 신청(관련 서류 대단히 복잡 하면 일반인은 구하기도 힘듬)까지..150만원은 잡아야 하죠.. 순정으로 달려 나오지 않는 차종은 아예 구조 변경 자체가 거의 불가능 합니다.

    단속도 조사각을 보는게 아니라 사제냐 순정이냐 그것만 판단하단데(구형 XG의 경우 형식승인이 나서 괜찮다는 변명까지)

    꽃미남님 말씀 처럼 좀 더 정확한 HID 관련 법규에 그에 적합한 HID는 구조 변경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면 좋겠습니다.

    답글삭제
  10. 전면썬팅을 25% 요런거 해놓고 안보인다고 HID 해놓는 사람들 - _-



    그리고 잘 안보이지도 않는데 그냥 멋으로 HID 해놓는 사람들 - _-;;;



    전조등도 아니고 안개등에 HID 해놓고 전조등 끄고 안개등만 켜고 다니는 사람들 - _-;;;;;;;;



    (안개등은 본래 목적이 불을 밝히는게 아니라 타인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확산광이 목적이죠.)



    국가차원에서라도 올바른 HID 문화를 교육시켜야 합니다.

    답글삭제
  11. @박노진 - 2009/10/05 11:17
    그런 사람들을 보고 저능아라고 하는 거겠죠...ㅎㅎㅎ

    방에 보일러 최고로 세게 틀어놓고 덥다고 에어컨 트는 것 처럼...ㅋ

    답글삭제
  12. 비밀 댓글 입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