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흔히 타이어를 말할때...일반적으로 말하는 규격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이런식의 표기가 있지요.
215는 타이어의 단면폭,45는 편평비,R은 레디알,
17은 적용휠의 직경,94는 하중지수,
W은 타이어가 대응하는 최대속도....가 되는 것 이지요^^;
이 접지면의 폭이 제대로 유지 되기 위해서는..타이어의 공기압과,
휠의 림폭과 적절하게 조합이 되어야 최적의 성능을 낼수가 있습니다.
휠의 림폭과,타이어의 접지면의 폭에 대한 규정이 당연히 존재 합니다^^
이는 전세계의 일반적인 ISO규정이며..유럽 타이어 규정인 ETRTO의 규격을 표준으로 합니다.
http://www.etrto.org
좌측의 표는 규격에 맞추어
간략하게 정리 해본 것입니다.
위의 표는 국제 규격중 편평비 40,45에 대응하는 최적 림폭에 대한내용만 따로 발쵀하여 편집한 것입니다.
K군의 블로그는 와인딩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쓰이는 40,45시리즈 외에는 특별히 다룰만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 이죠^^;
유럽의 표준을 따르며 동일한 표준을 아시아에서는 일본 JATMA 규격이 있습니다.
JATMA (The Japan Automobile Tire Manufactures Association, INC)
이러한 규격들은 휠과 타이어에 관련한 다양한 표준정보를 제공하며,..
특히 휠의 림폭(타이어를 수용할수있는 폭을 말함.)과 타이어에 대한정보가 있으니
차량의 성능을 최적화 하여 스포츠 드라이빙을 즐기는데에 큰 도움이 될것 입니다^^;
좌측의 그림을 첨부하오니....
참고하시면 림폭및..단면 폭등에 관한 이해가 빠를듯 합니다
[좌측을 클릭하시면 594pixel로 편안하게 보실수 있습니다.]
이중 림폭과 타이어의 단면폭은 상당히 밀접하고 긴밀한 관계가 있는데,그
것은 성능과 안전성에 기인합니다.
림폭대비 너무큰 타이어를 끼우면 출렁이며 상당히 불안정한 거동을 보이고,
연비도 하락하며 본연의 성능을 낼수 없습니다.
흔히 RV나 지프 차량들에게서 볼수있는데.. 하이퍼포먼스를 지향하기보다는.
승차감과 충격 흡수 성능에 촛점을 맞췄다고 볼수 있지요.
오프로드를 위해 전용의 타이어들은 무방하나,
온로드 스포츠를 지향하는 차량에게 있어서는 금기시해야 할 것이죠.
헌데 더 위험한것은 림폭대비 너무도 작은 사이즈의 타이어 입니다.
요컨데 9.5J~10J의 림폭을 가진 휠에..215의 단면폭을 가진 타이어를 적용한다면...타이어의 사이드월은 거의 붕괴 되다시피 하며
장착할때 에어밸브를 통해 바람을 넣기도 쉽지 않습니다.
하드한 스포츠 주행시 타이어의 사이드월이 제 역할을 하지도 못하고 ..
림이 땅바닥에 닿는 경우도 생기며,심지어는 벗겨지는 경우도있습니다.
요컨데 ┌------------┐이런식으로 타이어의 사이드월은 90도로 유지되어 말 그대로 Side wall[측면 벽]이 되어야 하는데,
타이어 폭보다 넓은 휠에 적용하게 되면 ↗--------↖ 이런식으로 사이드월이 누워 버리게 되죠..
당연하게도 저 상태에서는 사이드 월이 제 성능을 낼수 없습니다.[곧게 서있어야 할 담장을 45도 각도로 ...
아무런 보강없이 뉘우면 당연히 못버티죠?? 같은이치.]
◁예전 K군의 삽질 셋팅[클릭하면 원본사이즈로 볼수 있습니다.]
달리기 성능을 향상시킨다고 한짓이...뻘짓이었음 TT
좌측은 9J휠에 215 타이어를 적용한 모습...
아무것도 모를 당시 K군도 저렇게 셋팅한적이 있으나.
몇번의 와인딩 주행후 타이어가 눌려 휠의 림부분이 긁힌 흔적을 보고
바로 235로 교체 하였었지요...
만약 더 빠른 속도로 달리는 상황이었다면...생각만 해도 아찔합니다.
타이어폭은 휠의 폭과 적절한 밸런스를 유지 해야만 최고의 성능을 낼수 있습니다.
특히 메이커에서 타이어 테스트 할때는 절대적으로 안전하고,고성능 타이어의 성능을 부각시킬수있도록 ISO규격에 맞게 사용하는데..
현재 시점에서 가장많이,그리고 오래 최고의 스포츠 타이어로 사랑받고 있는
공도최강 ! "요코하마 어드반 AD07-네오바"의 경우도 성능 테스트시에는 정확한 규격을 맞추어 사용합니다.
그래야만 사이드월이 살아서 타이어의 접지면을 최대한유지시켜주기때문이죠.
235-45-17의 타이어를 8J림폭을 가진 휠에 넣어서
최고의 성능을 낸다.
만약 235가 8.5J나 7.5J에 넣어서 최고 성능이 나온다면
그렇게 했을것이다
실제로 작년 중미산 와인딩시에..
모 회원님이 8.5J 휠에 215-45-17의
AD07을 장착했을때.
기존의 225-45-17 SPT와
성능의 차이를 거의 느낄수 없었습니다.
썩어도 준치라고..네오바 타이어의 성능은
발군 이었지만,그 단단한 사이드월 마저도.
무너져 내리더군요,..[덕분에 핸들링 느낌이 불안정해짐]
제 아무리 고성능 타이어라도...제 성능을 내려면 환경[셋팅]이 제공되야죠^^
흔히 휠에서 말하는 림폭의 숫자의 단위가 무엇인지 알고 계셔야 합니다 1=1inch 입니다. 이는 2.54cm이 되죠.
휠에서 쓰이는 J라는 기호는 림폭의 뒤에 붙어있는 알파벳 이며,
이는 J형 JJ형 플랜지에 대한 종류에 대한것 입니다,스포츠용 휠은 거의J형,꽃미남님 테클수정TT
요컨데 8J의 휠 이라면. 실질적인 림폭은 20.32cm이 되는것 입니다.
그렇다면 205 타이어 사이즈와 가장 매칭이 잘 될것 같지만,
이것은 림폭[타이어로 치면 비드면의 폭]의 이야기 이며 실제 양산 타이어의 규격은 접지면을 이야기 하는 것이기에,
접지면의 폭과는 다릅니다.
그래서 이런 일련의 셋업 과정을 헷갈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애초에 "상식적인" 규정을 만들어 놓은 것 이고요^^;
이처럼 국제 규격도 있고 메이커 발표 차량에서도 명확하게 입증되는 것임에도
막상..이에 관한 자료를 찾기는 쉽지 않았습니다..ㅋㅋ
그냥 말도 안되게 10J휠에 215~225 사이즈 타이어를 넣어 놓고~
이야 역시 타이어는 네오바!! 이딴 소리나 해대는[이건 취향 문제가 아닙니다.]글만 잔뜩 인터넷에 널려있고요..
인터넷의 힘...정말 손쉽게 많은 정보를 얻을수 있지만,..제대로된 필터링 기구가 없기에...
말도 안되는 거짓정보가 진실 처럼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지요..
그래서 K가 만들기로 한겁니다 -_-;[잘난척은 아니고...그냥 칭찬좀 해달라는 소리임 -_-;]
외국사이트[구글,야후(yahoo.de),MSN]를 뒤지며 정보를 수집하여 취합한 자료들임..
물론, 경우에 따라서 다소 변경이 되는 셋팅은 가능하다고 생각되나. 기본 베이스는 저것임을 명심해야 할것 입니다^^;
마음에 드셨다면 추천 한방 꾹! 날려주세요..[과거 포스팅 버젼 전면 재 수정한 것임.]
이것도 정말 중요한 부분인데 많이들 간과하는 부분이죠...
답글삭제좀 와인딩을 심하게(?)하는 사람들에게는 특히 신경써야할 부분입니다.
@Sgoon. - 2009/01/15 23:39
답글삭제네네~~ 이해 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이것과 관련해서도 삽질을 많이해봐서요^^
돈 없어서 값싸게 살수있는 215-45-17타이어를
8.5J휠에 끼워봤는데 ㄷㄷㄷ 이죠^^
그 좋다는 RE050도 코너링 성능이 허접해지는
돌발 사태가.ㅋ
너무 좋은 글 잘 참고하였습니다 ^^
답글삭제제 블로그에도 링크를 걸도록 하겠습니다.
trackback from: 휠 림폭과 타이어 폭과의 관계에 대한 정보
답글삭제휠 림폭에 적절한 타이어 폭은 어떻게 될까 궁금하여 둘의 관계에 대해 찾아보았다. K군님이란 분이 자신의 블로그(http://forwinding.tistory.com)에 자동차와 관련된 좋은 정보를 많이 올리고 있었다. 이중에서 "휠의 림폭과 타이어 넓이의 관계에 대한 국제 규격"이라는 글에 너무 정리가 잘 되어 있었다. 이걸 기준으로 한다면 골프 GT TDI 휠은 림폭이 7 인치이므로 225 45 17 보다는 205 50 17이 오히려 적절하다고..
딱 보기에도 타이어 사이즈보다 넓은 휠에 끼운 듯해서 타이어가 이상해보였는데... 절대 이상한게 맞는 거였군요 ;;
답글삭제맞는 림폭의 타이어를 장착하지 않은 케이스인건가요 ?
@Sikuru - 2009/08/13 11:45
답글삭제넵^^; 드리프트 할때의 경우는[특히 일본]에는 일부러 그렇게 셋팅해서 하이그립 타이어[특성문제라]를
그렇게 셋팅하기도 하지만, 그건 슬립을 자유자재로 하기 위한거고..
그게 아니고 성능의 향상을 위한다면 뻘짓이라 할수있죠^^;;
다소 위험한 발언이지만,..그딴 식으로 휠+타야 팔아먹는 업자들 부터 갈궈야....^^
@이니셜케이 - 2009/08/13 11:47
답글삭제가끔 보이는 일명 세수대야-_-급 오버휠 장착 차량들이 더 신비하긴 해요;;
특히 한세대 지난 대형세단에 오버휠에 캠버 앗쌀하게 준 차들...
...본인은 멋있으니 했겠지요? =ㅅ=;;;
@Sikuru - 2009/08/13 11:45
답글삭제말씀하신 부분은 개인 취향 부분이기에..제가 언급할 수는 없구요^^;;
다만 말도 안되게 과도하게 낮은 차고와,,심한 캠버값을 가진차들은 다소 불안 불안해 보이긴 하죠..ㅎㅎ
알토란 같은 좋은 글 잘 봤습니다..
답글삭제알고계시다시피 제가 지금 장착하고 있는 휠이 어쩔수 없이 교체받은 물건이다보니
림폭이 8J 인데 새 타이어 장착하고 사이드월 부분의 지면과의 마찰흔적을 보다가 궁금하게 여겼는데
이 글을 보고 나니 확실히 알게 되었네요..
요즘은 일부러 자세를 위해서 흔히들 림폭을 좀 크게 셋팅하여 장착하던데
전 철저하게 실용위주라서 저하곤 맞지 않는것 같네요..
본문의 표를 보니 제 사이즈는(215/45/17) 7J 휠을 구입해야겠네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여기 저기 다니면서 정보 수집하느라 고생하셨습니다~^^칭찬~~~ㅋㅋㅋ
@inside - 2009/08/13 20:58
답글삭제아싸~ 칭찬이다..ㅋㅋ
좋은글 잘 읽었습니다.
답글삭제대부분 약간 작은 사이즈의 타이어를 꼽아 휀더 간섭을 막는것도 방법이긴 하지만
터무니 없는 작은 사이즈의 타이어를 꼽고 소위 말하는 완전 말리는 스타일은;; 과도한 코너링시 타이어가 벗겨지지 않을까 하는.. ㅋ
저는 16인치 7j 휠에 205 45 낑구고 있어요 ㅋ
처음으로 테클 들어갑니다~ㅋ
답글삭제제가 알기로는.. 휠의 림폭은 기호가 붙지 않습니다..
8J가 아니라 8이 림폭입니다..
단위는 물론 인치이고요..
J는 림의 플랜지 단면의 형상을 기호로 나타내는것으로
J형, JJ형이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다른게 또 있는지는 몰라요..ㅎㅎ)
그러므로 1J=1인치가 아니라 1=1인치입니다..
제가 잘못알고있는것이면 역테클 환영합니다..ㅎㅎ
첨으로 테클을 거니까 기분이 상큼하군요..
K님이 테클쟁이영감님들이라고 부르시는분들의 기분이 이해가 됩니다..
이맛에 테클을...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거,, 타이어 살때 인터넷으로 확인하면 회사 사이트에 다 있는거 맞죠~~?? (Nitto는 있었음;;)
답글삭제@전채환 - 2009/08/13 21:19
답글삭제네^^; 애시당초 휀더의 간섭을 막기 위해서가 아니라도..음..당연히 차량에 맞는 스펙의 휠을 써야죠.ㅋ
한가지 재미난건 예전 투스카니에 8.5J휠에 235타이어를 넣어서 전-후륜에 사용했는데,
유턴시에는 간섭이 있었고, 코너링 시에도 언더내면서 느리게 탈때는 간섭이 있었습니다,
헌데,..빠르게 탈때는 간섭이 없었지요...이게 말이 안된다고 생각하실수도 있는데,.
빠르게 탈때는 그립을 위해 언더스티어를 지양하고 핸들각이 적기 때문이지요..ㅎㅎㅎ
티뷰론,투카에 245 전륜 타이어를 사용하는 시합차들이 존재 하는것도 그런 이유로 가능하죠.ㅋ
@5654cc - 2009/08/14 09:50
답글삭제몰겠어요, 국내 홈피엔 없기땜시..니또는 코리안 홈피가 아니므로 무효.ㅋ
@꽃미남 - 2009/08/14 03:08
답글삭제안믿으시네..
J형은 플렌지부분이 한번 꺾여있고
JJ형은 두번 꺽여있어요..
그래서 J형은 박아넣는 타입의 벨런스납이 부착 가능하지만
JJ형은 불가능해요..
다른거 필요없고요..ㅋㅋ
J가 림폭을 나타내는 숫자뒤에 왜 붙는지 설명해보세요..
아무 이유없이 기호가 붙진 않잖아요?
그것을 적절한 근거를 제시해서 설명을 못하시면
이번 테클은 유효한겁니다..ㅋㅋㅋㅋㅋㅋ
@꽃미남 - 2009/08/14 03:08
답글삭제쿨럭..제가 잘못 알고 있었던게 맞네요 ㅎㅎ[하지만 절대 굴하지 않음.ㅋ]
본문 수정 합니다.ㅋ
흑........이게 얼마만에 걸려본 테클인가 TT;;
잘 보았습니다. 그러면 포르테쿱 순정휠이 7J이고 타이어가 215/45/R17이니까 순정휠타이어 매칭이 가장 이상적인 조합이네요...
답글삭제그런데 애프터마켓용 휠을 보면 거의 7.5-8.0J 이던데...
215/45/R17 네오바 타이어 사용하려면 오히려 순정휠의 림폭인 7J가 가장 이상적인 휠 림폭이네요...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
정말, 좋은 글입니다. 자기 차 휠의 옵셋과 타이어의 관계도 모르면서 불안한 셋팅을 하고 고속도로나 산길을 질주하는 차들 보면 아찔하더군요. 림폭이 7.5인치인 제 휠에 215/45/17이면 나쁘지 않은 조합이네요. 최적은 225/45/17인데 타이어 가격이 올라가니 안습입니다. ^.^;;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