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22일 토요일

현대자동차 새로 출시될 투싼[tucson] 후속 ix의 가격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군요 ㅎㅎ

사실 현대 자동차 외에도 국내에 판매하고 있는 그 어떤 브랜드도
자유롭지 못한 내용이 바로 "가격"이지요
.

신차가 출시될때마다 가격이 올라가는 것은 기본이고..
해외 판매가격대비 비싼 국내 가격[요즘은 환율때문에 이 문제는 해결됨.]
항상 문제가 되고 있지요.

이번에는 새로 출시될 투싼 후속의 가격 문제가 이슈화 되고 있습니다.
기존 차량에 비해서
200~400만원이나 가격이 상승된다는 것이 큰 논란 거리이죠.

원문 기사 보기[클릭하세요]


더욱이 동급의 닛산과,포드 차량에 비해서도 투싼의 풀 옵션 차량의 가격은 높을것으로 예상..
이는 기존에 수입차=고급차 라고 의식화 되어있는 국산 자동차 시장의 오너들에게는...
크게 환영 받기 힘들거라 보입니다... 한편으로 씁쓸한 기분이 들기도 하는군요.

물론 현대-기아차량의 근래의 기술력은 분명 대단하다고 볼수 있고,R엔진으로 불리우는
신형엔진은 세계 최고수준의 엔진이기도 해서..비싼게 아주 이해 안가는건 아니지만..-_-;;
2.0liter 배기량의 차량이 이제 3천만원대를 넘어서기 시작하는건,.압박 스럽지요.
사실 요 근래 국산차 가격은 상식 외로 많이 오른것이 사실 입니다.[노조 먹여 살리려면 당연..]

그나마 이번 ix의 경우는 이미 흘러나오는 소문 처럼 그 성능과 투입된 기술력은 확실히 동급 차량들과 차별화 되기에,.
좀더 이슈화되면서 관심을 받고 있지요.
얼마전 극비리에 시승된 차량의 후기와 약간의 데이터가 유출되었는데,
G센서를 기반으로한 장비로 계측시 0-100km/h는 무려 8.5초대의 기록을 나타냈다고 합니다.

이는 기존에 국내 출시 디젤 자동차 시장에 한 획을 그은 "라세티 프리미어 2.0AT"의 기록보다 더 좋음을 의미하며,...
이건 특별히 달리기를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운전중 스트레스 없이 부드러운 가속을 통한 추월-오르막길 등반이 가능하다는 소리도 됩니다.
더욱이 알려진대로 R엔진은 연비도 좋지요, 물론 새로 탑재된 미션과의 매칭이 어떨지는 나와봐야 알겠지만 말입니다.

고성능 2.0liter suv(cuv?)시장을....수입-국산차 구분 없이 리드할수 있을지는, 나와봐야 알겠지만....
그 선전은 기대해 봅니다.
하지만...가격이 자꾸 상승되는건 좀...........보기 좋지 않네요
.
[현대의 그 비 효율적 차량 생산 구조를 개선하지 않는한 가격은 계속 오르겠지요.-특히 망할노조 -_-;]

볼만한 자료라고 생각되시면 아래에 손가락 모양[View On]을 클릭해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더욱더 많은 분들이 보실수 있답니다^^;

댓글 14개:

  1. 가격이 자꾸 오를만한 이유는 있겠지요..

    그럴만 하니 그렇겠지... 라고 그냥 넘어갑니다..

    아직은 제가 새차를 구입할 생각이 없기에 그런것 같습니다..ㅎㅎ

    구매자의 입장이 되면 마음이달라질지도..

    그나저나..

    저 광고사진이 맘에 안드는군요..

    저는 효리양을 싫어하기에..ㅎㅎㅎ

    답글삭제
  2. @꽃미남 - 2009/08/22 21:53
    저도 이효리 싫어합니다..ㅋㅋ 그냥 짤방임.ㅋ

    답글삭제
  3. 정말 제로백이 8.5초라면 엄청난 기록인데요..? 베라크루즈도 9초대이고 심지어 제네시스쿠페2.0터보도 제원상 제로백이 8.5초인데..

    기대가 점점 커지는 투싼ix..!

    답글삭제
  4. 자동차에 관심이 없으면 현대차 노조의 파업과 전반적인 물가 상승 등을 감안하여 차가격이 오를거라는 생각이 들겠지만, 현대기아차는 해도 너무하는 것이 하청업체들에게 매년 원가절감 몇%씩 할당 때리고 점점 더 품질 낮은 부품 써가면서 이어 체인지 모델 나올때마다 30~50만원씩 가격 인상합니다. 물론 플랫폼 바뀌는 신모델 나올때 200만원 인상은 아주 당연한 이야기가 되었구요.



    이번 투싼 사전계약 건도 아마도 계약 건수 보고 차량가격을 결정하려는 아주 얄팍한 수법이 아닌가 의심이 들기도 합니다.





    가장 큰 몫을 담당하고 있는 곳이 바로 현대모비스가 아닐지....



    1999년과 2009년의 부품가격 한 번 비교해 보시면 답이 나올겁니다.

    답글삭제
  5. @파가니 - 2009/08/23 01:01
    일단 R엔진의 경우 리스폰스 자체가 개량되었으니...일정부분에선 수긍이 가기도 합니다만...너무 빠르네요 TT

    답글삭제
  6. @효리좋아 - 2009/08/23 08:59
    모비스가 부품값 올린것은 분명하나, 주 고객층이 에프터 마켓 소비자[튜닝,수리]를 위한 부분에서의 단가 상승이죠^^;

    한예로 2000cc중형차의 새차값 보다 단품 구매후 조립하면 더 비싼것 처럼...

    현대 차량의 불필요한 가격 상승은..독점과 비효율적인 생산율,마케팅,회사 구조등에 더 큰문제가 있지요^^;

    또, 가까운 일본만 해도 플랫폼 변경으로 차량 가격이 거의 상승하지 않는데,.ㅎㅎㅎ

    플랫폼 연구-개발 투자비는 기존 차량의 판매,신차 플랫폼 개발로 인한 장기적인 수익으로 매꿔야지..

    그걸 가격 상승으로 매꾸려고 하는게 참 열받죠..ㅋㅋ

    답글삭제
  7. 동감합니다



    후진부품쓰면서 차값은 올리고....다른 대안이 없기에 현대를 타야하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전에 TV에서 봤는데 하청업체에 부품값을 후려치면서 정작 자기네는 비싼값을 받더군요



    그로인해 하청업체는 부실한 중국산원자재를 몰래 수입하여 쓰거나, 질 낮은 재료를 이용하여 부품을 생산하고요



    그결과 품질 낮은 차를 더 비싼 가격에 구입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현대의 판매수익을 갈수록 늘어갑니다





    하지만 이걸 알고도 현대차의 디자인이 품질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로 워낙 이쁘게 나오기때문에 사람들이 구입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답글삭제
  8. @동감 - 2009/08/23 18:05
    맞습니다 ...

    한예로 하청업체의 경우도,..최초 차량 양산시보다..시간이 지날수록 품질이 떨어진답니다.

    그 이유가 금형생산비용및 생산 원가가 다운될 시점에서..현대에서 가격을 재조정하기 때문이죠.

    어쩔수 없이 하청업체에서는..조금씩 조금씩,품질이 저감될수밖에 없지요TT

    답글삭제
  9. 투싼 살려는 사람들은 계약하지말고 1년 있다가 사세요

    분명히 여론 선동해서 몇천명 선계약이래서

    가격 정할때 최고로 올릴겁니다

    일본 토요타는 엔진 단가를 50프로 줄이는게 목표이고 달성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프리우스가 가격인하되었습니다 뉴스 보셨을 것입니다

    솔직히 R엔진 제원 믿습니까?

    몇년전 뻥 제원으로 경고먹고 벌금 낸 현대입니다.

    새로 만든 6단미션 괜찬을까요? 젠쿱 후륜 5단 진짜 말 많습니다

    3800에는 독일제 6단미션 씁니다 그래서 김기태 기자가 젠쿱 안좋다고 까니깐 그 동영상 내려달라고 현대에서 요청했다네요

    또 하이브리드 연비 환산 방식 보셨을 겁니다. LPG는 18키로니깐 가솔린 환산하면 36키로라고요

    항상 이런 논리입니다 그저 기술보단 마케팅을 해서 가격 측정하고 옵션질하죠

    저도 투싼 엄청나게 기대했지만 예상 가격보고 정말 허망할 뿐입니다.

    다신 현대에게 기대 안할것입니다.

    구매자 분들 참으세요 그리고 돈모우세요 이자 안낸다는 생각 가지시고요

    소비자의 힘을 보여줘야합니다.

    현대 이렇게 가다간 포드 지엠 꼴 납니다

    답글삭제
  10. 망할 노조 어쩌구 하는 걸로 봐서...

    현대차의 이미지 조작이 성공한듯...

    답글삭제
  11. @네오 - 2009/08/24 13:37
    노조가 핵심이라는게 아니라, 분명 큰 원인은 분명하지요...인건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엄청나니까요.

    더욱이 효율적이지 못한 배치 구조도 문제고요^^

    물론, 그런 노조를 어찌 못하고,...효율적으로 운영못하는 사측도 큰 문제가 있겠구요^^

    답글삭제
  12. 사실 인건비 비중은 생산 원가 대비해서 그리 크지 않습니다. 4.8%인가요? 물론 비교적 적다고도 못하죠...^^

    현대가 사측과 노조와 힘의 관계에서 문제가 있는건 분명하지만, 노조 때문에 차값이 오르고 현대차 자체가 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식으로 모든 문제는 노조에서 시작된다는 식의 글들이 심심잖게 보여서 좀 거슬렸습니다. 이러한 문제도 사실 현대사측의 노조 관리의 어설픔 때문에 노동자들과의 신뢰가 무너져 생긴 문제라 사측의 노력이 없으면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이기도 하구요.



    뻘글, 죄송합니다.

    답글삭제
  13. @네오 - 2009/08/24 13:51
    죄송하긴요~ 의견을 피력하는 공간이니..

    논리적이고 정당한 의견은 언제나 찬성 입니다^^;

    찾아보니 2008년 기준으로 11.4%이네요..ㅋ

    엄청나지는 않지만, 그래도 적지도 않은것 같습니다.

    총 매출대비 비율이니까요..^^

    즐거운 하루 되세요~

    답글삭제
  14. 다 맞는글이구요 저도 현대 귀족노조꼴보기 싫어서 왠만하면 현다이 구매하기 싫긴한데 ... 아직 대안이 없다는 그리고 수입차 한번 타보신분 아시겠지만 극악의 유



    지비, 부품값이 ㅎㄷㄷ 결국 현다이로 왔네요.. 현다이노조때문에 결국 금호타이어꼴 날껍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