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15일 토요일

자동차 튜닝및 스포츠 드라이빙 매니아에게 꼭 필요한 소화기 [부제:화재는 초기 진압이 중요함,3kg 하론가스 소화기][자동차의 필수품]

자동차를 튜닝하고,하드한 주행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양산차를 출,퇴근용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 비해서 각종 트러블에 노출되는 환경이 형성 됩니다.
일반적인 자잘한 트러블을 제외 하고 중대한 트러블..요컨데 엔진 블로우,미션블로우,브레이크파열등은 정말 상상만 해도 끔찍 하지요 -_-;

특히 그중에 화재에 대해서는 의외로 많은 분들이 그저"남의 일"정도로 멀게 생각 하시는 듯 합니다.
하지만, 화재는 정말 어느순간 말도안되는 타이밍에 찾아오기도 하지요 -_-;;[물론 대부분은 미리 전조증상을 보이고,장기간 지속적으로 환경이 조성됨]

그 전조 증상이란 참으로 단순하고 명확하게 구분이 되는데...엔진의 가스켓이나,실링류의 문제로 엔진룸 내부로 흘러나온 엔진오일이 여기저기 튀고,흐르거나....
혹은 등속조인트가 터져서 휠 내부 여기저기에 그리스가 튀어 화재의 최적조건을 만들어 준다거나,..잘못 작업된 전장류에 의해서
가끔 쇼트나고..휴즈가 사망하는 등의 합선-누전에 대한 증상이 사전에 대부분 발생하죠..허나 이를 캐치하지 못하거나,무시하게 되면 화재로 이어지겠죠.

실제로 불이난 차를 보는 일은 아주 어렵지 않고, 저도 몇몇을 직접왔고, 한번은 제가 직접 화재를 진압해준적도 있습니다.
제가 본건 튜닝카는 아니었고...강원도 고갯길에서 운행하던 대형 화물차량 이었습니다.[덕분에 하론소화기 3kg짜리를 뜻 깊게 사용할 수 있었지요.]


아무튼, 꽤나 많은 운전자 분들이 차량내에 소화기를 비치 하지 않은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은 비치 하더라도 좌측의 그림처럼 500ml의 인테리어용 소화기를 -_-;;

사실 좌측의 그림처럼 소형 소화기는 거짓말 조금 보태서 담뱃불 끌거 아니라면,효과 없습니다.
특히 대부분 차량화재는 유류화재인데, 그걸 소화하기에는 아무리 빠른 초동 조치라도 힘들지요.
최소한 2kg의 용량은 "무조건"필요로 합니다. -그래야 비교적 확실하게 제압이 가능하니까요-

물론 그 적은 소화기라도 없는것 보다는 분명히 나을거라는데는 이견이 없지만, 그래도 제대로(?)된 화재가 발생하였을때는... 정말 택도 없지요.
그리고 기본적으로 화재 발생시에 사람이 당황하기 때문에, 정확하게 사용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더욱더 큰 소화기의 필요성이 대두 됩니다.

예전에 제가 사용하던 하론 소화기[3kg]...
조수석의 발 받침대로도 쓰고 여러 모로 요긴하게 써먹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이지만,.은빛 찬란한 저 스테인레스 소화기는 실내 인테리어에도 한몫을 ..쿨럭^^;]

뭐랄까?..제법 달리는 차의 필수품을 장착하니 뿌듯한 기분이랄까요 ?^^[철없던 시절이라..ㅋ]
하지만 일단 소화기가 있고,없고의 차이는 극명 합니다.[물론 평소엔 전혀 쓸모 없는 무게추 일뿐이지만...]



실제 화재가 자신의 차량에 발생하거나,일행..혹은 타인의 차량에 발생했을때.. 발빠른 조치가 가능하다는 것!! 바로 이것이죠.

그로인해 "전소"되어 버릴수도 있는 차량을 간단한 그을림 정도에서 마무리 지을수 있다면...이 얼마나 대단한 것 입니까^^;

물론,그런일은 극히 드문경우이니....뭐 그런것 까지 귀찮고 골치 아프게 신경 쓰냐고 할수도 있지만,...차량에 장착된 그 수만개의 부품중.
차량 폐차할때까지 단 한번도 작동 안하는 부품 의외로 많습니다.
바로 "안전"에 대한 부품들 이지요.... 사고났을때만 사용이 되는 것들이니...하지만 그런 소중한 "안전장비"에 대해 중요성을 모른다면..
그 결과를 몸소 체험하는 수밖에 없을것입니다.

엔진룸 내부에 흘러넘친 오일로 인해 가볍게 불이 붙은 상황에서 수천만원 짜리 자동차를 소화기를 이용해 가볍게 화재 진압 하는경우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해 발만 동동 구르는 경우의 차이는 논의 할 필요조차 없을만큼 확실한 비유가 되겠지요^^;

댓글 6개:

  1. 제차에도 500ml짜리가..ㅎㅎㅎ

    업그레이드 해야겠네요..^^

    답글삭제
  2. @꽃미남 - 2009/08/14 20:47
    넵^^;; 하론소화기 짱! 입니다...2.5kgor3kg강추!

    답글삭제
  3. 몇년전 회사에서 반강제로 방화관리자 자격을 취득하라고 해서 3일간 교육을 받았죠ㅎㅎ



    사실 저도 그렇고 일반인들 화재에 대해 전혀 아는 바가 없죠;;



    고등학교 과학시간에 배운정도?가 끝이 아닐까 싶네요.



    뭐 3일 교육으로 대단한걸 배운건 아니지만 그래도 교육을 받고 나니 배우기 전보다는 아는게 생기더군요ㅎㅎ



    하론소화기 자동차에 하나씩 비치해두고 가정집에도 하나씩 비치해두면 좋죠



    물론 사용할일이 안생기는게 최선이지만 사용할일이 생겼을때 있고 없고 차이가 너무 크죠.



    참고로 자동차에는 하론 소화기 비치해야합니다.



    사용하고 나서 잔재물이 안남거든요.



    일반 분말소화기는 화재는 진압할수 있어도 뒷감당이 어려워질수도^^;

    답글삭제
  4. @악의꽃 - 2009/08/15 00:42
    좋은 교육 받으신것 같습니다^^;

    토목 현장 관리직을 하면, 자연스레 안전교육을 받게 되는데..이때 화재에 대한 교육이 제일 컸습니다^^;

    유일하게 전원다 실습을 해보는 부분이니까요..ㅎ

    하론,..다 좋은데..이게 치명적인 독가스 성분 입니다.ㅎㄷㄷ

    답글삭제
  5. 음... 좋은 내용입니다.

    근데 항상 고민이 소화기 고정을 어떻게 하나요?

    트렁크에 두어도 혼자 이리저리 굴러다니고,

    이니셔케이님 처럼 조수석에 두면 굴러다니지 않나요?

    고정 방법만 확실하다면 저도 하나 사고 싶네요...

    답글삭제
  6. @viewbox - 2009/08/31 15:05
    보통은 트렁크 에 보관들 하시더군요,. 소화기를 살때 차량에 부착할수 있는 브라켓을 같이 구입하시면 됩니다^^;

    실내에위치하는게 제일 좋고,.일상적인 데일리카 라면...시트 하단부에 위치하는게 좋지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