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8월 18일 화요일

드라이빙 테크닉 : 언더스티어링 현상의 발생원인에 대하여..[under steer] 부분적인 해법을 제시하다?[풀브레이크,핸드 브레이크,AGCS]

본문에 들어가기에 앞서 언더스티어에 대한 오해 한가지를 말씀드립니다.
간혹 웹상의 글을 보다 보면 언더스티어는 FF구동 차량에게만 국한된 특성으로 오인되게 작성된 글들도 있는데.
FF,FR,MR,RR,AWD를 총 망라해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언더 스티어링 현상은 왜 발생할까요 ?
정답은 간단합니다.
코너를 차량 상태(성능)에 비해 빠르게 진입해서 벌어지는 일이죠.
그럼 빠르게 진입 한다는건 과연 무슨말일까요 ?

더보기

펼쳐두기..

도로의 제한 속도보다 빠르다는 것일까요 ?,... 아니면 그 차량스펙에 맞는 속도를 넘어섰다는 것을 말할까요 ?
혹은, 도로도.........차량도 아닌 드라이버의 컨트롤 영역을 벗어난 속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

K의 개인적인 생각으론 후자의경우가 위 질문의 답에 가깝다고 생각 합니다.

드라이버의 컨트롤 영역이라는 것은 차량의 상태를 이해하고 현재 차량의 물리적인 능력을 이미 파악하고, 자신의 컨트롤 허용 범위라고 볼수 있습니다.
헌데 사람인지라 가끔 컨디션[마인트 컨트롤 부족포함]이나,혹은 노면에 뜻하지 않은 변화로 인해 그 영역을 넘어서는 경우가 생길수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경우가 드라이버의 문제[실력]으로 인해 언더스티어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라는 것이지요.

이는 차량의 스펙상의 성능에서 충분히 가능한 영역에 비해서 말도 안되게 낮은 구간에서 드라이버의 문제로인해서 일어날수도 있으며,
반대로 실력이 좋은 드라이버라면 차량의 스펙으로 감당조차 할수 없는 영역에서 아무일도 없는듯이 언더스티어를 제어해 나갈수 있습니다.

좌측의 그림은 언더스티어 상황에 돌입한 차량의 선회 반경을 표현한 그림입니다.
차량은 보다시피 차선을 이탈하고있습니다.[공도라면 엄청난 사고가 되겠지요.]
언더스티어 현상이 발생하면 차량은 가고자 하는 방향보다 바깥쪽으로 향합니다^^
[핸들을 더 꺽어도 사태만 악화시킬뿐 -이는 슬립앵글 증가로 인한 접지력 감소가 원인]
이는 코너를 선회하는 차량이 원심력을 이기지 못하고 차선을 벗어나는 현상입니다.
타이어의 접지력이 뛰어나거나,측력에 대응하는힘이 강한 구조라면 극복 가능하죠
.

근래의 자동차 메이커에서는 뒷바퀴 토우값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후륜의 접지력을 조절하는 신기술 까지 등장하였습니다^^;;[국내 현대 AGCS 시스템이 대표적]

일단 언더스티어링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사고로 이어지는게 다반사 입니다.
중앙선을 넘어가던지,가드레일 바깥으로 밀려서,낭떠러지로 떨어지는 경우도...
한예를 들어볼까요 ? [영상을 첨부합니다-직접 촬영한 영상임..장소는 경기도 여주의 삿갓봉][엑센트 올순정, 드라이버 양상천]
 

위의 영상의경우 드라이버가 익숙하지 않은 코스에서 오버스피드로 진입하게 되어 벌어진 현상 입니다.

보다시피 상당히 갑작스레 언더스티어로 차량은 코너를 부드럽게 돌지 못하고 추돌하게 됩니다.
잘보면 언더스티어 발생시 핸들을 좀더 조작하여 차선을 변경 하려는 노력을 하지만,
언더스티어링 상황에서의 원하는 진행 향으로의 과도한 핸들링은..
결국 접지력을 악화시켜 좀더 강력한 언더스티어를 발생 시키며, 그 결과로 감속이 이루어지지 않고 추돌하게 됩니다.

이런경우 케이가 추천 하는 가장 효율적이며 실수가 없는 방법으로는 언더스티어로 밀려가는 방향으로 핸들을 조향하여 차륜을 정렬(직진 하듯 말입니다)한후 풀 브레이킹을 하여 최대의 제동력을 이용하여 제동을 하는 방법 입니다.
[이도 저도 다 해보면 좋겠지만..사고는 우리를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만약 능숙한 컨트롤이 가능하다면...
악셀을 살짝 풀어 기다리다 미세한 접지력이 확보될때 조향하여 속도를 줄이며 빠져 나갈수도 있지요.
그나마도 영상 처럼 좁은 공간에선 거의 불가능...현실적으로 거의 서킷에서나 가능한 기술이 되겠지요,
혹은 4바퀴 그대로 언더스티어 나는 상황에서나..가능 ㅎㅎ

물론 컨트롤 능력이 뛰어나거나,지리를 알고 있는 곳에서의 의도적인[결정적이지 않은 약간의 실수로인한] 언더스티어라면
핸드브레이크(side-parking brake)를 이용하여 후륜의 의도적인 잠김현상[lock]을
유도하여 차량을 안정화
(후륜이 밀려나가 선회반경 감소함) 
단계로 접어들게 하여 이 상황을 벗어날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방법은 상당한 훈륜[연습]과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아야만 가능하게 됩니다.
평소 J턴이나,드리프트를 하는 분들에겐 그리 어렵지 않은 방법이지요,
제 경우는 실질적인 스승님이라 할수있는 아이비님께 엄청난 타격을 입으며 배움ㅋㅋ


[언더스티어 이후 의도적인 핸드 브레이크 사용 영상 입니다. 뒷바퀴를 잘보세요^^;;]
위의 영상은 같은 코너에서 언더스티어 발생상황시에 핸드브레이크를 이용하여 자세를 제어 하는 영상 입니다.
[갑작스런 턱인으로 인한 현상을 조심하셔야 함.]
자세히 보시면 언더스티어 발생과 함께 뒷바퀴가 잠기는게 보이실겁니다^^
[하지만 보시다 시피 엑센트 보다 진입속도 자체가 낮습니다,촬영을 위한 시도임]

위의 동작에 익숙해지게 되면 FF로도 간단한 1회성 드리프트 퍼포먼스 정도나,자잘한 언더스티어 정도는 극복 가능합니다.
꾸준한 연습을 통하여 실제로 사용하셔야 하며. 평소 듣고,
본것만으로 어느날 갑작스레 사용한다면 상상도 못할 뒷감당을 하셔야 할수도있습니다.[죽을수도..]

물론 이런류의 달리기 관련 취미가 있으신 분들에겐 이러한 통제 방법이 자동차를 컨트롤 한다는 기분에...
차량과 하나가 되어가는 과정이 즐겁고.. 좋으시겠지만,
일반적인 운전자들에겐 어찌보면 비관심 분야이며,그런 기술필요없으니 자동차의 성능만으로 커버를 하려 할것입니다.
어찌보면 그편이 되려 비용도 싸고, 더 안전할지 모르니까말입니다..
당연하게도 그런 분들을 위한 시스템이 있습니다.[위에 언급한 현대의 AGCS]

[위의 영상은 NF소나타의 AGCS시스템 광고와,교육용 영상입니다. 대단하죠 ㄷㄷㄷ]
타사 차량대비 월등한 자사의 기술력을 광고하는 영상이기 때문에,.약간의 효과[타사 차량 운전 대충?]정도는 있을거라고 보이지만,
잘보면 확실히 그 성능의 뛰어남은 분명하다는데 동의 하실것입니다.
이렇듯..언더스티어 상황은 이러한 메커니즘으로도 해결은 가능하기에..
운전 실력으로 커버를 하느냐, 자동차의 성능으로 커버를 하느냐...


결정은 여러분의 몫이죠^^;;ㅋ

끝으로 결론을 내리자면 언더스티어 라는것은 코너를 돌수있는 속도보다 빠르게 진입할때 발생합니다.
이는 차량의 구동방식과,무게배분,전-후 타이어의 접지력,전-후 서스펜션의 스프링레이트와 높낮이,
전-후 스테빌라이져의 강성,
전-후 타이어의 트레드폭과 윤거같은 사소한 하나 하나가 모여서 그 특성을 상쇄할수도,증대할수도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다루지 않은 "쏘잉:핸들을 톱질하듯 좌-우로 연속적으로 꺽어 그립을 확보하는 기술"은
차후 핸들링 #3편or#4(번외)에서 다루겠습니다.
지난번의 포스팅 일부분을 수정하였으며,약간 추가된 내용도 있습니다.[이 포스팅은 더 수정 하지 않겠습니다.]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 손가락모양[View On]을 클릭해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포스팅 하는데 큰 힘이 된답니다

댓글 12개:

  1. 퍼갈줄 몰라서 그냥 방치하고있음 ㅋㅋㅋㅋ

    답글삭제
  2. 전 사이드 아무리 세게 당겨도 안잠기던데 ㄱ-,, 그리고 저 테스트 영상 어코드하고 슴5는 ESP 퓨즈 빼고 한거랍니다 -_-;; 완죤 사기

    답글삭제
  3. @5654cc - 2009/07/10 07:53
    자사의 기술력을 부각하는데..그만한 사기(?)는

    애교죠...ㅋ 현빠는 아닙니다만...ㅎㅎㅎ

    일단 ESP가 있더라도 AGCS보다는 아랫급이고..ㅋ

    일단 300C가 사이드[핸드 브레이크]가 잘 안잠기는건

    무게를 생각해보면 당연할거 같아요..ㅋ

    주차용 브레이크 잖아욧!!

    물론 람보나 슈퍼카[장보기용 차 아님.ㅋ]처럼

    사이드용 브레이크가 따로있다면 틀리겠지만요.ㅎㅎㅎ

    답글삭제
  4. @이니셜케이 - 2009/07/10 09:40
    장보기용차에서 풉 ㅋㅋㅋㅋㅋㅋㅋㅋㅋ AGCS덕분에 쏘나타도 4차원차로 레벨업?!

    답글삭제
  5. @5654cc - 2009/07/10 07:53
    일단 개인적으로 소나타가 싫기에 -_-;

    4차원이 아닌 관심밖차량..ㅋ

    물론 그 시스템은 많은차에 달렸으면합니다....만!!!

    전 그런거 달린차 탈 마음이 없습니다 -_-;

    답글삭제
  6. 오..전AGCS가 토우값을 안쪽으로 꺾어서 오버스티어방지용으로 알고있었는데 밖으로도 꺾네요;;;

    예전 닛산(인피니티)광고에서도 나왔었고..미쓰비시는AYC를 오래전부터 란에보내수용에(10기부터 모든차량) 쓰고있고..

    점점 운전하기편한 차들이 나오네요..하드코어한차는 없어지는건가...

    답글삭제
  7. 엑센트 언더스티어 영상 정말 최고입니다!

    넓은 공터에서 이론적으로 보여주거나 그래벌에서 4륜차로 휙휙 만들어내는 상황이 아니라 국산차로 국내 와인딩로에서 흔히 발생할수 있는 언더스티어와 그 예후가 어떤 느낌인지 정말 잘 보여주는 귀중한 동영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이런 살아숨쉬는(?) 자료가 포스팅되는 블로그는 어디에도 찾아보기 힘듭니다.정말 레어한 블로그에요^0^

    답글삭제
  8. @short15 - 2009/08/19 02:58
    감사합니다^^;

    지극히 현실적인 설명과,자료를 위해 노력(?)은 하고있습니다^^

    답글삭제
  9. 언더스티어에 대해서 맛만 알고있는 상태에서 동영상이랑 같이 보면서 읽으니 쉽게 이해가 되네요...



    AGCS도 옵션이겠죠?? 우리나라는 자동차 옵션의 천국!!!

    답글삭제
  10. @scoul - 2009/08/19 10:25
    당연히 옵션일겁니다^^; 옵션이라도 있으니 다행이죠..ㅋ 아직 저 기술도 없는 회사 많습니다.ㅎ

    답글삭제
  11. 블랙 프리미어 고급형 safety pack1 구입한 사람인데요

    차 구입당시에는 처음 보는 기능? 이라 그냥 넘어갔는데 동영상 보고나니

    어차피 할부로 구입했는데 옵션에 포함시킬껄 후회되네요..

    썬루프빼고 AGCS 옵션을 추가할껄 그랬습니다.. ㅠㅠ

    동영상 잘보고 갑니다.

    답글삭제
  12. @파이터문 - 2009/09/02 22:57
    반갑습니다^^;

    안정 관련 장비는 아무리 해도 ,과함이 없지요^^;

    안전 운전 하시면,.될듯 합니다. 행복하세요~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