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 사이 BMW의 하이브리드 컨셉 자동차가 공개 되었습니다. 이름은 Vision EfficientDynamics...그냥 비전이라 부르죠^^;;;
이 상당히 요상 스럽게 생긴 차량은....절대적으로 제 취향은 아니지만....정말 기묘한 그 모습에 호기심이 생기는 디자인 입니다...ㅎ
일단 솔직히 이 차량은 그리 시장성이 있다고 생각되지 않습니다..단순한 디자인 문제가 아니고..시대의 흐름 때문에 말입니다.
하이브리드 라는 장르 자체가... 내연기관에서 전기[어떤 방식의 전력 생산은 논외로 하고라도.]자동차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장르이기 때문에...사실 실용화 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안정화 될 무렵 전기 자동차가 나올테니.. -_-;]
[참고로 국내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몇종류-아반떼,포르테,베르나등.이 있는데...조만간 단종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 부가티 베이론 이후 가장 맘에 안드는 프런트 뷰 -_-;;; △역시 이 얼짱 각도는 나름 괜찮아 보입니다...


△마치 곤충이 날개 같아 보이는 도어 개방,.이건 멋지네요. △개인적으로 이게 앞모습이였으면 합니다만,..이게 뒷모습-_-;;
디젤터보 방식의 1.5L 3기통 엔진[163hp,29.5kg-m]과, 81마력(앞),51마력(뒤)의 모터 탑재.합계:356hp 81.6kg.m
최고속도 250km/h,0-100km/h가속 4.8sec, 배터리 완전 충전 시간 2.5시간, 배터리만으로 50km주행가능.
KERS (Kinetic Energy Recovery System) :제동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축적하여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술 탑재.
최고속도 250km/h,0-100km/h가속 4.8sec, 배터리 완전 충전 시간 2.5시간, 배터리만으로 50km주행가능.
KERS (Kinetic Energy Recovery System) :제동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축적하여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술 탑재.


△뭔가 포스는 있어보이지만,...왠지 우울해 보이는 프런트 뷰.. △10.8kWh의 용량을 가진 배터리..아마 국내 삼성 SDI의 배터리??


△차량의 설계에 있어...공기 역학적인 성능을 극대화 하여 최저 연비,고성능 실현...이를 통해 공기 마찰계수(cd) 0.22를 기록 함.!
일단 전체적으로 보면 확실히 경량화 된 차량으로 보입니다.
루프와 도어측은 확실히 강화 플라스틱[폴리카보네이트]으로 보이며,. 알루미늄의 사용도 많이 되었다고 합니다.
엔진자체가 작고..탑재되는 가솔린의 양도 적네요,.위의 사진중 투시도를 보면 상당히 작은 크기의 연료탱크가 센터 터널에 위치.
한가지 재미 있는게.... 바로 배터리의 위치 입니다,.가장 무거운 배터리를 센터 터널에 일렬로 배치하여 무게중심을 낮추고,
차량의 전-후 무게 배분을 효율적으로 꾀하였지요,.이를 통해 상당히 안정적인 코너링 성능과 고속 안정성을 가질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사라지고,..전기 자동차의 엄청난 성능이 예상되는 것중 하나가..저중심,경량화 이지요^^;;
차량의 전-후 무게 배분을 효율적으로 꾀하였지요,.이를 통해 상당히 안정적인 코너링 성능과 고속 안정성을 가질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의 내연기관 자동차가 사라지고,..전기 자동차의 엄청난 성능이 예상되는 것중 하나가..저중심,경량화 이지요^^;;
일단 말 그대로 컨셉트 카 이기에...실제로 양산이 될런지는 알수가 없지만,..
상당히 독특한 그 모습과..BMW의 새로운 컨셉카 라는이유로 이슈가 되는것 같단 생각에 자료를 찾아서 올려 봅니다.
볼만한 자료라고 생각 하시면 아래의 손가락 모양[View On]을 클릭해주세요, 더욱더 많은 분들이 볼수 있답니다^^;
공기마찰계수는 넘 어렵습니다...^^;;
답글삭제낮은 것이 좋은 것인지... 적당히 높은 것이 좋은 것인지...^^;;
저 차가 이슈가 되는 이유는 컨셉카라는 것도 있겠지만 디젤하이브리드의 성능을 보여줬다는데 있지 않을까 싶네요...가솔린 하이브리드의 토요타만 있는게 아니다~~ 라는...
답글삭제저런 고성능에 리터당 26km의 연비...100g/km 이하의 이산화탄소 배출 등...
나중에 가솔린 직분사의 발전을 봐야겠지만 현재로서는 디젤이 우위에 있고...똑같이 하이브리드를 만들어도 가솔린보다 낫다라는게 아닐까요?
@이윤규 - 2009/09/04 18:18
답글삭제공기저항계수라는게 의외로 사람들 가지고 놀기 참 좋은것 입니다..ㅋ
형상에 기초하는 것인데,..솔직히 말씀하신대로 너무 낮아도 그리 좋을것 없습니다.ㅎ
그렇게 되면 다운포스가 약해지거든요, 반대로 너무 높으면?..출력면에서 엄청난 손실이 있구요..ㅎ
한가지 재미 있는건 뾰족하다고 그 수치가 낮지도않습니다,..떨어지는 물방울 모양이 더 적죠.ㅎ
이에 대해선 조만간 한번 다루도록하겠습니다^^
@이슈가.. - 2009/09/04 19:07
답글삭제정확한 지적 이십니다만, 말씀하신 내용 자체를 인지할 사람자체가 적습니다^^;
보통은 그저 획기적인 디자인에 치중하지요..^^;
난 저 디자인 딱 취향에 맞는데.. 역시 취향은 다양한듯..ㅎㅎ
답글삭제그나저나.. 최고속이 250... 고작 250인가.. 생긴건 300은 우습게 찍을 디자인인데..
하긴.. 고속주행에는 영.. 잼뱅이인 S2000보다야 훨 낫지만 말이지...ㅎㅎㅎㅎ
@S2000아저씨 - 2009/09/05 03:29
답글삭제그게 말이죠...언젠가 부터 행님의 댓글 한줄 한줄은 제대로 까칠합니다..ㅋㅋ
고작 250이라니...."아수라 광명왕 반자이!!" -_-;;
@S2000아저씨 - 2009/09/05 03:29
답글삭제아마 저차의 성능으로 제한된 최대속도가 아닐겁니다. 실제로는 더 올릴 수 있어도 법으로 제한하던가..해서 속도 제한으로 250km/h로 제한해 놓은게 아닐까 싶습니다.
국내 수입된 차들도 250km/h로 정확하게 리미트 걸어놓은 차들이 여러 종류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