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22일 화요일

내년 상반기 출시된다는 현대 YF소나타에 탑재되는 세타II 2.4GDI엔진으로 본 현대자동차의 기술력은 ?.


이미 알고 계시다 시피 내년 초 현대에서 YF소나타 2.4 GDI 모델을 공개 하기로 확정 보도 되었지요,. 
TG 그랜져에 들어가는 기존의 세타2 2.4L과는 전혀 다른 GDI[Gasoline direct injection]엔진을 가진 새로운 차량.
Gdi 엔진에 대해서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언급하였으니,..그 특성에 대해서는 본 포스팅 하단의 트랙백을 이용하여 열람 하시길^^;

현재 현대에서 공개한 2.4L GDI버젼의 성능은... 엔진마력 201,토크 25.5kg-m에 연비 13km/L 이상을 나타낸다고 합니다.
L당 토크는 이제 10이 넘어선것은 운전의 편안함을 간접적으로 유추해 볼수 있습니다. [대 배기량의 부드러운 가속감의 이유]
전반적으로 토크가 높은 차량이 가속력,등판력에서 스트레스가 없음은 아마,.. 경험을 통해서 아실것이라 생각 합니다.

25.5kg-m의 토크란 과연 어느정도 일까요?,. 기존 2.7Liter 델타 엔진[투스카니,그랜저등]의 경우 300cc나 배기량이 크면서
토크는 25kg-m으로 세타 2.4L GDI엔진에 비해 0.5kg-m이 낮습니다....토크가 높을수록 불필요한 악셀링이 없으므로,운전이 편합니다.
이 토크라는 것은 차량의 견인력을 나타내는 숫자라고 보시면 됩니다.[실질적으로 차량의 가속감을 느끼는것,마력은 최고속에 큰 영향]
일단 토크가 높으므로,.. 엔진 자체의 힘은 월등하다고 보면 되고...이는 실 연비 향상에도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 합니다. 

현대에서 내 놓은 엔진의 데이터를 보면 비슷한 배기량의 엔진을 가지는 동급의 경쟁 모델들인..
도요타 캠리(2.5L),닛산의 알티마(2.5L),혼다 어코드(2.4L)와 비교할때....연비와 마력 모든 면에서 우위를 보입니다.

이는 현대의 이번 2.4GDI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부분으로,.. 내년 세계의 10대 엔진 부문에 랭크될수 있을것 으로 생각이 됩니다.
혹자는 이미 10년 이전의 일본 엔진의 출력을 이제야 따라가는 거니....기술력을 내세울게 뭐가 있냐고 헛소리를 하지만.
현 시점에서 동급의 비슷한 배기량 모델들이 왜 예전의 엔진보다 출력이 떨어지는지는 이해 못하고 하는 소리이니 무시한다.

요즘은 예전과 다르게..환경 관련한 문제를 상당히 신경 쓰고 제작이 되는데,. 그렇기에 출력을 올리기 위해 무작정 많이 사용하는
연료를 소모하고...그로인해 배기가스 배출량만 늘리던 과거의 그런 기술 따위는 지금에 와서는 사용할수가 없게 되었죠...
요즘 엔진이 과거의 엔진보다 출력과 가용 rpm은 낮고,. 오염물질 배출 감소와 연비는 더 좋아진것이 그 이유..

당연히 이 시대에서는...같은 연비와 배기가스 배출량이라면... 더 높은 출력을 안정적으로 내는것이 기술이라고 할수 있는데.
이부분에 대해서 현대는 우리가 생각하는것 이상으로 기술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엔진 기술은 단지"엔진의 퍼포먼스 극대화를 꾀하는 레이싱용 엔진"과는 사뭇 다른 양산차의 엔진 이므로.
더 싸고....안정적으로 쉽고 빠르게.....그리고 내구성 좋게 만드는 기술이므로... 단순한 "엔진 출력"의 관점과 차별화..

얼마전 발표되었던 소렌토 R과..그이후 투싼 신형 ix에 탑재된 디젤 R엔진도 같은 맥락이라고 볼수 있는데.
세계양산차 클래스중..동급에서 그만한 성능,연비,가격을 만족시키는 엔진은 없다고 봐도 될정도로...수준이 높죠.

글이 좀 난잡해진 경향이 있는데... 내가 하고 싶은 말은...."현대 차가 짱이에요!!!"이게 아니라..
우리나라의 기술력은 이미 세계적인 수준에 올라섰고... 자부심을 가지라는 말을 하고싶어서 이 포스팅을 해본다..

댓글 20개:

  1. trackback from: 현대 YF신형 소나타 2.4GDI엔진 탑재가 드디어 확정 발표 되었군요. [2.4liter GDI 스포츠 세단!!!]
    오는 17일 이후 발표되는 현대의..신형 소나타!! But ,과연 17일날 정확하게 출시될지는 장담 못하겠습니다. 이유는 떠도는 소문대로 가격때문일 거라는 생각이 ㅎㅎ 현시점에서 현대 자동차가 가격때문에 골치 아픈건 분명 사실 입니다. 요즈음 논란이 되고 있는 신형 벤츠 E클래스와,제네시스간의 가격 경쟁(?)은 차후 국내 시장의 근간을 흔들 수입차와의 전쟁의 서막이라 볼수있죠. 미래전쟁의 서막이라....이거 터미네이터 4제목이지만, 딱이네요 ㅎ 아무..

    답글삭제
  2. 현대칭찬글이 아니라고 마지막에 써놓으셨지만 이글을 보배같은곳에 올리시면

    "당신을 현대영맨으로 임명합니다~"라고 하는 사람들이 많을겁니다..ㅋㅋㅋㅋ

    인터넷에는 사리판단을 못하고 무조건적인 까대기를 하는 현까가 너무 많아요..

    깔건 까고, 칭찬할건 칭찬해야하는데..

    답글삭제
  3. trackback from: YF쏘나타의 유혹에 견디며 돈 모으는 방법!!
     최근 자동차 회사에서는 앞 다투어 신차를 출시 하고 있습니다. 작년의 금융위기 때에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 에 초첨을 맞추었다면 지금은 시중에 풀린 유동자금을 어떻게 자동차 판매로 이어 갈 것인가에 맞춰 져 있는 것 같습니다. 여러분 지갑에 돈의 여유가 조금 씩 생기는 걸 느끼시나요? 더구나 다음 달에 추석이니.. 역시 똑똑한(!) 자동차 회사들이죠 ㅎㅎ 오늘은 여러 신차 중에서 현재 중형차의 폭풍의 핵(!)으로 등장한 YF 쏘나타를 중심으로..

    답글삭제
  4. 요상하게 현대는 기술력이 늘어가면서 옵션장난 기술력도 좋아져서리.... ㅎㅎㅎ

    답글삭제
  5. ㅎㅎ 기술은 인정!! 자부심을 가질만 하죠.



    가격은 인정 못함 ㅡㅡ;

    답글삭제
  6. R엔진과 2.4GDI엔진...

    정말 현대가 많이 발전한 것 같습니다. ^^

    이제.. 가격만 조금 더 합리적(미국수준정도만이라도..;;)으로 하면..ㅎㅎㅎ

    답글삭제
  7. 근데 정말 현대차가 짱 맞는거 같아요 - _-ㅎㅎ



    일단 일본 세단들은 다들 10년 전의 디자인으로 돌아갔고;;



    독일차들은 가격에서 밀리니...



    (제네시스 풀옵보다 저렴하다던 벤츠 E클래스도 인테리어 보니까 눈물 나더군요;;;)

    답글삭제
  8. 여기 일부 사람들은 현대=토요타=닛산 ㅋ 현대차는 (애기때부터) 한번도 못겪어봤지만(택시 제외 -_-) 좋은가봐요

    답글삭제
  9. @꽃미남 - 2009/09/19 23:10
    그런 바보들이야 상큼하게 IP차단...ㅎ

    답글삭제
  10. @scoul - 2009/09/20 00:37
    네^^;; 그런데 이번 YF는 사실 별로 안오름...바보기자들이 기사를 이상하게 써서..ㅎ

    답글삭제
  11. @Sgoon - 2009/09/20 00:45
    그래도 미친...삼성,대우보다는 더 괜찮다고 봅니다 ㅎㅎ

    물론 이렇게 된데 지대한 공헌을 한건 수입차....^^;;

    답글삭제
  12. @이윤규 - 2009/09/20 01:09
    현실적으로 미국 시장과는 비교가 안되는게..동네 슈퍼와 마트에 공급하는 단가는 틀릴수 밖에 없죠.ㅎㅎ

    답글삭제
  13. @박노진&i30 - 2009/09/20 02:34
    FTA되고..수입차 가격 거품이 빠진다면...그때에 다시 가격조절및 재 평가 받겠지요.ㅎ

    답글삭제
  14. @5654cc - 2009/09/20 06:20
    현대차 라기 보다는 엔진 기술력..이요.ㅋ

    답글삭제
  15. 지금의 현대 기술 상승은 인정 하지만 이니셜케이님이 댓글 달며 말씀하신 동네 슈퍼와 마트 공급의 단가 차이란 말은

    인정 못하겠네요..

    전체 규모가 미국 시장이 큰건 분명하나 현대차 판매량으로 보면 내수가 분명 크고

    유통에 드는 비용이 적은걸 감안하면 적어도 같은 가격으론 팔아야죠~!

    오히려 판매량만 보면 현대에게 마트는 국내고 구멍가게는 미국 아닙니까?

    하지만 현실은 국내는 비싸게 미국엔 싸게 입니다..

    박리다매란말은 경제 경영 전공 안해도 다 아는 말일겁니다~!

    많이 팔면 그만큼 더 깍아줄 여력이 생기는 겁니다~!

    현재의 현실을 인정한다면 그 소비자가 문제 있는거죠~!

    독과점으로 자신이 손해보는걸 기업이 폭리를 취하는건 소비자의 힘으로

    안되면 정부에 요구를 해서라도 막는게 인지상정이고 소비자의 권리입니다~!

    이모저모 따지면 살건 현대기아차 인게 국내의 현실이지만(저도 그땜시 결국 현대차 몰고 있지만)

    적어도 국민을 보호해야 하는 정부가 대기업 보호를 위해 독과점에 의한

    국민들이 보는 피해를 무시하는건 분명 문제 있는겁니다~!

    더 싸게는 안되도 비슷하게라도 되야지.. 물건너가느라 비용 더 들은게 더 싸니 원..

    답글삭제
  16. @월야 - 2009/09/22 11:30
    안녕하세요^^;

    제 말에 약간 어폐가 있었나 봅니다..제가 하고픈 말은..

    현대의 시장 지배력등에 문제가 아니라...북미 시장의 규모를 말 하는 것이어서.



    말씀하시듯 현대가 마진에 대해서는 분명 국내에서 더 많이 남기고 있지만..

    판매량을 기준으론 수출을 더 많이 하고 있습니다..판매량 부분에서는 잘못 알고 계시고 있습니다^^;;

    가격의 경우는..아직 네임벨류 형성이 안되었으니 어쩔수 없는 부분이구요[소비자만 열 받지요..TT]

    차후에 인지도가 높아지면..제값 받고 팔거라 보입니다...그때에도 시장성의 문제로 국내보단 저렴하겠지만 말입니다^^;;



    우리는 소비자이기때문에 답답하고 왠지 손해보는 느낌이지만,..

    기업의 입장이라면 그렇게 돌아가기 딱 좋은게 국내 시장이라..어쩔수 없다고 봅니다.. 기업도 변해야 하지만.

    결국 국민[소비자]의 마인드가 바뀌지 않으면....앞으로도 이러한 시장은 계속 유지될겁니다.



    국내 소비자만큼 따지기 좋아하면서.. 결과적으론 돈때문에 대충 구입하는게 아쉽게도 국내 시장 입니다...

    답글삭제
  17. @월야 - 2009/09/22 11:30
    단순히 판매량만 가지고 설명할 순 없을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의 "현대"라는 이미지는 아직도 동양의 이름모를 나라에서 만드는 싸구려 자동차 일뿐입니다. 그래서 현대자동차를 구매하는 사람들을 살펴보면 저소득층,노인,흑인들이 주류를 이룬다고 하더군요..

    아직까지 미국시장은 현대가 개척해야 할 시장이고..미국시장의 기존 지배자(?)들인 도요타,혼다,지엠,포드,크라이슬러등등..수 많은 고급/대중 브랜드들의 파이를 뺏어와야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타 메이커보다 품질,내구,서비스등에서 월등히 뛰어나지 않기때문에 결국 가격을 내리는 방법을 채택하는거죠..이게 지금 세계판매 1위를 달리는 도요타가 미국시장에 진출했을때 사용했던 마케팅 방법입니다. 도요타도 싸지만 탈만한 차라는 인식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는 상황에서 가격을 올릴 시에 판매량 감소는 뻔한일이고..따라서 도요타의 자체 브랜드인 렉서스를 내놓게 되는거죠..현대도 이번에 제네시스라는 브랜드를 독자적인 브랜드로 내놓으려고 했으나 마케팅비용이 천문학적으로 들기때문에(제네시스라는 브랜드의 영업망이 따로 필요로하게되죠..) 그냥 현대자동차의 제네시스로 발표하게 되었습니다. 다행히도 제네시스가 미국에서는 호평을 받고 있는지라 현대자동차의 가치를 끌어올리는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지요..암튼 미국시장에서 현대가 돈을 벌기 위해서는...살을 주고 뼈를 깎아오는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살이 바로..할인인거죠..

    답글삭제
  18. 전부 퍼가기엔 좀 어렵고

    내용 좀 제 포스팅에 퍼갔습니다.

    gdi개념...

    출처를 밝혀 놓긴 했는데,

    혹시 문제가 되신다면 수정하겠습니다.

    답글삭제
  19. @부릉부릉 - 2009/10/28 23:29
    안녕하세욧~

    이렇게 친절히 댓글까지 남겨주시고, 정말 감사합니다.

    제 블로그의 모든내용은 펌 가능합니다(특별히 안된다고 된것 외에는요^^;)

    즐거운 하루되세요, 저도 가끔 블로그 들리도록 하겠습니다.

    답글삭제
  20. http://blog.naver.com/smoker3/30045769664



    시사기획 쌈에서 보도한 내용인데, 뒷골땡기는 내용이라서 읽어보시라고 댓글 남깁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