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13일 일요일

에프터 마켓 매니폴더[스텐레스sus304]와 노멀 배기시스템 적용시 발생되는 이종금속간의 갈바닉 부식에 대하여.

좌측의 사진은 순서대로
1.스텐레스 재질 사제매니폴더+순정촉매[가공]+순정 배기[레조,엔드사일런스]
2. 1의 상태를 유지하고 장착 6개월만에 부식되어 행거[hanger]가 부식된 상태
3. 2의 상태를 극복하고자 전체 스텐레스 재질 제품으로 교체하여 해결한 상태.

실 사용 6개월 가량의 양산 차량용 배기시스템이 부식되어 행거가 떨어졌다???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이 상황이 2008년 제게 벌어졌답니다.

두번째 사진을 보면 행거가 레조레이터 양쪽에 하나씩 장착되어 있는데,.
잘 보시면 용접이 끊어진것이 아니라,.자체가 부식되어 파손된 경우 입니다.

한쪽만 떨어지면,.그러려니 하겠지만,..양쪽 모두 떨어졌다는 것이 문제,.
이때문에 당시에는 별 생각 없이 그저 불량이라 생각하고..
세번째 사진 처럼 전체를 스텐레스로교체 하여 배기튠을 완료 하였었지요.
[물론 새것으로 교체할수도 있었지만,.부품에 신뢰도 안가기도하고 해서 교체함.]

당시에 왜 6~7개월밖에 안된것이 이렇게 빨리 부식되었을까? 하고..
의문을 가졌었지만,. 그 원인을 알수 없고[제가 관련 분야 종사자가 아니므로.]
작업한 샵에서도 짐작조차 하지 못하였기에 그냥 넘어갔었습니다.
그 이후 약 1년의 시간이 흘러..얼마전 제 블로그에 어떤분이 달아주신 한마디.
바로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궁금해서 알아봤습니다.

갈바닉 부식(galvanic corrosion)

두 이종금속(dissimilar metal)이 용액 속에 담구어지게 되면 전위차가 존재하게 되고 따라서 이들 사이에 전자의 이동이 일어난다.
그리하여 귀전위를 가진 금속의 부식속도는 감소되고 활성전위를 가진 금속의 부식속도는 촉진된다.
즉 전자는 음극이 되고 후자는 양극이 된다. 이러한 형태의 부식을 갈바닉 부식 또는 이종금속접촉부식이라 한다.

면적의 영향
갈바닉 부식에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중요한 인자는 양극과 음극의 면적비이다.
갈바닉 부식에 있어서 가장 위험한 조건은 소양극-대음극이다. 양극 면적에서의 전류밀도가 높을수록 부식속도는 커지게 된다.
반대로 소음극-대양극은 갈바닉 부식을 줄일 수 있는 좋은 조건이 된다. 예를 들어,
구리판에 박힌 철못과 철판에 박힌 구리못을 생각해보면, 전자는 소양극-대음극이고 후자는 소음극-대양극이다.
따라서 후자에 있어서 보다 전자에 있어서의 갈바닉 부식이 훨씬 심하게 되고 철못은 큰 손상을 입게 된다.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서로 다른 두개의 금속이 닿아 있을경우..
요컨데 제 경우에는 사제 매니폴더의 Sus304와 순정 금속(재질모름)의 전위차이로 인해...낮은 전위를 가진 순정품의
부식이 촉진되어 저련 경우가 생겼다는게 이 갈바닉 부식에 대한 것 입니다.

한가지 재미 있는건,. 이 갈바닉 부식이라는것이 꼭 이종금속간에만 일어나는것도 아니더군요..
정확히 말하자면,.. 꼭 이종의 금속이 아닌 같은 동종의 금속에서도 일어날수 있다고 합니다. 
요컨데 특정한 상황[환경]에서 서로 다른 전기적인 특성을 지니게 되는 동종의 금속에도 발생이 가능하다는것 이죠..
예를 들면 같은 재질로 만들어진 두개의 제품이 연결되어 있을경우에도 서로의 부식정도가 달라지면, 자연 전위가 변화하여..
부식이 진행된곳을 집중적으로 부식이 촉진되는 효과가 있다고 하는군요...[갈바닉 전류와 같은 효과가 발생되다고 함.]
일단 흔하지는 않지만,. 좋은내용은 아니기때문에,. 제거할수 있다면 제거 하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갈바닉 부식의 방지 방법: 여러가지가 있지만, 자동차에 적용가능한것들만 나열을 해봄.
갈바닉 계열에서 가능하면 가까이 위치한 금속들을 선정, 금속 표면에 이물질이 발생-부착되지 않도록 함.
음극, 양극부분의 끝단에 외부 전원을 반대로 걸어줌으로써 전위차를 제거.
두 금속에 대하여 더 활성적인 제 3의 금속을 접촉[희생양극제]하여 대신 부식이 되도록 하는 방법.
양극부 (Anode)의 표면적은 크게, 음극부 (Cathode)의 표면적은 작게 하여 접촉시켜서 면적의 영향을 이용한다.[위에 나온내용.]
이종금속의 경우 접촉 금속간에 절연재를 써서 전기적으로 절연[플랜지,볼트,너트에 대한 절연도 필수]
대충 이러한 현상이 있다는 것을 알아둘만 하다는 생각에 포스팅 해봅니다.[저도 이번에 처음 알게된 내용이라,.정말 신기함.]

물론, 꼭 발생한다고 보기는 힘든현상이고,
NA차량의 경우는 배기라인의 단열[부식방지]코팅제가 있으니..
그것을 이용하여 [터보차의 경우 배기온 상승이 ㅎㅎ]
배기라인에 대한 코팅을 해주면 될것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 예전 S2000아저씨가 혼자 다이로 하던 그 코팅작업...ㅋ
어느날 이상한 코팅제를 들고와서 혼자 열심히 작업하시던 ㅎㄷㄷ

몰랐으면 속편할것을 괜히 끄집어 내어,..
골치 아프게 하는건 아닌지 걱정이 되네요...^^;


볼만한 자료라고 생각하시면 아래의 손가락 모양을 눌러주세욤~더욱더 많은분들이 볼수 있답니다.
↓↓↓↓↓

 

댓글 16개:

  1. 훗, 실은 나는 이 갈바..닉..인가 뭔가 하는 부식을 막기 위해,

    그런 삽질스러운 코팅을 개고생을 하며 한거임. 진짜임.. ㅎㅎㅎㅎㅎ

    (...믿거나말거나)

    답글삭제
  2. 학교댕길때 배운건데..

    갈바닉현상을 이용하여 도금도 하지요..

    열씨미 공부했지만 세월이 지난 관계로 자세한건 기억이 안난다는..

    믿거나 말거나~ㅎㅎㅎ

    답글삭제
  3. @S2000아저씨 - 2009/09/12 22:54
    -_-;;; 믿거나 말거나...ㅋㅋㅋ

    형님을 위해 사진 첨부 완료~ㅎㅎ

    답글삭제
  4. @꽃미남 - 2009/09/13 02:49
    이걸 이용해서,..은목걸이 같은것들을 세척하기도 하더군요^^;;

    답글삭제
  5. 갈바닉얘기를 여기서 보게 될 줄이야 ㅋㅋ 참고로 동과 알미늄이 있을 때 물이 들어가게 되면 서서히 한쪽이 완전 x되버림. 즉, 동으로 된 라지에타, 알미늄 파이프를 사용할 경우 부동액의 물의 양이 많으면 안됨. 난 컴퓨터 수냉쿨러 때문에 관련된 지식이 있었는데 여기서 이런걸 보게 될 줄이야 ㅋㅋㅋ

    답글삭제
  6. @아므로 - 2009/09/13 10:09
    저도 관심은 없는 분야인데,.일단 자동차와 관련이 되었으니 집고 넘어가는거죠...ㅋ

    답글삭제
  7. 화학에서 배우지용~~~ㅋㅋ

    답글삭제
  8. 예전에 컴퓨터 쿨러(수냉식)에 관한 글을 볼때 이 갈바닉부식에 대해서 봤는데...

    여기서 또 보게 되네요 ㅎㅎ

    뭔가 굉장히 다방면의 지식을 접하게 되는 케이님의 블로그

    답글삭제
  9. 고2자연계선택하면 화학1시간에 음극화보호라고 배웁니다. 이방법을 이용해서 땅속에 묻어논 철로만든 휘발유탱크를 구리선과 마그네슘과 연결시켜서 부식으로 부터보호하죠. 함석도 비슷한 원리구요. K>Ca>Na>Mg>Al>Zn>fe>Ni>Sn>Pb>(H)>Cu>Hg>Ag>Pt>Au 왼쪽으로갈수록 반응성이크고 오른쪽으로갈수록 작습니다. 어떤 금속을 부식으로 부터 보호해야할때 반응성이 큰금속과 구리선으로 연결하면 반응성이 큰것만 부식되고 작은거는 부식으로 부터 보호되죠. K,Ca,Na는 반응성이 너무커서 사용하지않고(물에다가 집어느면 거의폭발수준으로 반응하죠..ㅡㅡ;;)Al는 부식과정에서 자체적으로 아주치밀한 산화막을 형성하기때문에 사용하지않습니다.

    답글삭제
  10. 헉~!! 지금 촉매가 털리면 매니+촉매 일체형이어서 매니도 바꿔야하는데요...

    매니폴드는 사제를 생각하고 있었는데...

    순간 걱정되기 시작하네요...ㅎㅎㅎ

    답글삭제
  11. @이윤규 - 2009/09/13 22:03
    하지만 XD같은 차들은 튜닝하는 차가 워낙 많아서...찾아보면 상태좋은 중고 많답니다^^;

    답글삭제
  12. 예전에 댓글로..2009년 9월 14일 오전 9:06

    댓글로 갈바닉 부식에 대해 썼던 사람입니다... 그냥 달린 댓글에 이렇게 글까지 작성해 주시고...^^a

    갈바닉 부식에서 역전위 걸어서 부식방지 하는 것은 상당히 난해한 작업이기 때문에 실제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습니다.(개인이 하려면 포기하시라는 얘기..ㅋㅋ)

    가장 쉽고 확실한 방법은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것이겠죠...배기 매니폴더 처럼 고온, 고압의 환경에서는 좀 적용하기 힘들겠지만... 아니면 그냥 부식될때마다 교환하는 방법도...쿨럭...



    아무튼 저 현상때문에 우리 주변 곳곳에서 생각지도 않은 트러블이 생깁니다.

    예전에 타워팰리스 누수사고를 기억하시는지... 그 사건때 검토 맡으신 분에게 얘기를 들었었는데 타워팰리스라고 나름 고급으로 한다고 내부 배관을 전부 스테인레스로 깔았다고 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주 수도 공급관들은 주철이죠...

    그 스테인레스와 주철 부분이 맞닿은 곳에서 갈바닉 부식으로 배관이 부식되서 터진거랍니다.

    결국 해결은 두 부분 사이에 플라스틱 배관 부분을 삽입해 절연해서 해결했다고 하더군요...



    아무튼 주요 포인트는 절연이 가장 쉬운 해법이라는거...^^

    답글삭제
  13. @예전에 댓글로.. - 2009/09/14 09:06
    아...안녕하세요^^; 덕분에 좋은 공부 했습니다.ㅋ

    정말 감사드려요,..ㅎㅎ 갈바닉 부식에 대응하는[전위차 큰 금속]표도 있더라구요..ㅋ

    역시 절연이 가장 효과적이군요...^^;;

    소중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답글삭제
  14. 자동차 자체를 모르고 걍 센터에서 해주는거만 갈면서 타는게 젤 속 편함 ...

    답글삭제
  15. @아므로 - 2009/09/13 10:09
    전설의 CPU 수냉쿨러,,, ㅎㄷㄷ

    답글삭제
  16. @5654cc - 2009/09/15 12:44
    여태 달았던 리플중 최고임.ㅋ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