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11월 9일 월요일

아고라 기아차 수출용 부품 빼돌렸다는 글을 보고..


아고라를 보다 보니 예전[2005년]에 있었던 기아 자동차 직원이 수출용 자동차에 들어가는 부품을 빼돌려서 팔았다는 것으로

내수, 외수의 제품이 다르고 그것은 즉 품질의 차이라고 써 놓은 글을 봤습니다
.


2005년에 에어컨, 범퍼, 브레이크, 핸들, 백미러 등의 부품! 그러한 부품을 카센터에 팔아온 혐의를 받아 구속된 사건.

헌데 과연 거기서 언급한 부품들이 "과연 내수용 보다 품질이 좋아서?"유통 된 것일까요?
결론 부터 말씀드리자면 부분적으로 맞을 수 있지만, 그것이 진실은 아니다?! 라고 말 할 수 있습니다.

내수용과 수출용의 부품이 다른 차종이 실제로 있고, 그것은 분명 사실 입니다만! 그것에 대해서는 다소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
시킬 수 없음역시 분명한 사실 입니다. [ 또 제글 보고 현대 영맨이니 그런 소리는 정중히 사양 합니다.]

무슨 소리냐 하면 외수용 부품은 수출되는 나라에 따라서 그나라의 법규, 환경에 따라서 국내 차량과 전혀 다른 부품이 들어갈
수 밖에 없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요컨데 추운 지방에 수출 되는 차량의 경우 "에어컨"이 없습니다. 이런 정도의 차이.

또한, 덥디 더운 사막의 나라(아랍등)에 수출 되는 차량의 경우 에어컨이 더 강하고 품질 좋은 것이 들어가는 것은 당연 합니다.
그것은 단순히 차별의 문제가 아니라 각 나라별 기후 조건과 같은 특수성에 기인한다는 것 이죠.

브레이크 같은 부품의 경우 국내 차량이 아닌 폭스바겐의 골프 GTI의 예를 들어도, 수출되는 나라에 따라서 브레이크 패드가
저분진-저 제동력 사양이 들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2008년 제가 다소 하드게 주행한 경험이 있는데 국산 2.0세단 수준급의
제동이 가능 할 뿐, 그게 200마력 오버의 2L터보 차량의 그것이라고 하기엔 다소 무리가 있는 정도의 설정 이었습니다.

이는 소비자의 기호를 반영하여 휠의 오염도를 줄이기 위해 분진이 적은 패드를 적용하였기 때문이죠. 이러한 차이에 의해서
분진은 상관 안 하고 단순히 극단적인 제동력을 강화 시키는 나라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 당연히 제동력에 유리 할 수 있지요.

대신에 이러한 패드를 장착하면 제 아무리 깨끗하게 세차를 하고나도 이틀이면 충분히 휠이 더러워지곤 합니다[유럽차의 특징]

나라별로 차이가 있는 부분인데, 이 문제로 인해서 컴플레임이 걸리게 되면 메이커에서는 적절한 제동력이 확보되는 선에서
분진을 줄이기 위해 제동력이 다소 약해진 패드를 제공 합니다.
[ 특별히 이것이 좋다고 할 수도, 나쁘다고 할 수도 없지요??]

몇 가지 예를 더 들자면 투스카니의 예가 좋을 것 같습니다.
투스카니의 경우 영국과 같은 나라에 수출 되는 제품의 경우에는
범퍼 자체에 안개등이 설치된 일명 피카추 범퍼를 사용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디자인적으로 예쁘다는 사람들이 있었고, 국내에는 유통이 되지 않아야 하는
제품이지만, 장착하는 사례가 꽤나 많았습니다.
사진에 보면 범퍼에 반사판이 있죠? 국내차량에는 없는 부분입니다.

바로 이런 경우가 해외 수출형 차량의 부품이 국내에 돌아 다니는 대표적인
경우가 될 것 입니다.

하지만! 사람들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그저 수출형 제품이 훨씬 더 좋을 거라는 막연한 믿음을 가진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과거에는 실제로 그러하였다는 것이 맞기에.. 저 역시도 별반 할 말은 없습니다만, 무조건 우기는 것은 별로 달갑지 않네요.

제가 이렇게 글 써봤자, 그래도 아니라고 귀막고 소리 지르실 분들 있는거 알지만,  그래도 제 개인의 공간인 만큼 제 의사를
명확하게 표하고 싶고, 혹시라도 제 의견을 수용해 줄 분들을 위해 글 써봅니다.                                


독설家

  

댓글 13개:

  1. 그럼 에어백 차별(?)에 대해서도 위와같이 얘기할 수 있나요? 그건 아무리 봐도 원가절감으로 밖에 보이진 않는데...

    답글삭제
  2. 그놈이 그놈이죠..뭐..

    아연도강판같은 확실히 차이가 나는것 빼고는 다 거기서 거기인듯..

    답글삭제
  3. 디자인 면에서도 그런걸 다네요 ㅎㅎ 그저 내부 부품만 들어가는줄 알았더니

    답글삭제
  4. @레이나도 - 2009/11/09 22:50
    안녕하세요^^;

    에어백 차별은 결단코 사람들이 만들어낸 루머일뿐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북미시장의 경우와 유럽의 몇몇 시장의 경우 자체국가 규정에 따라 3세대 에어백이 의무 장착입니다.

    그런 나라에 한정되어 3세대 에어백이 장착됩니다.

    차별이 아닌 나라 법규 문제 입니다. 이는 양산차 업체의 문제라기 보다는 나라별 법규 문제 입니다.

    우리나라도 강행법규로 지정해 주면 좋겠다는 생각은 해 봅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건 안전벨트인데, 안전벨트도 잘 하지 않는 나라에서 에어백 운운하는 것 자체가

    다소 아이러니 하기도 합니다.

    에어백은 보조수단 일 뿐이거든요.^^

    보통 오해 많이 하는 부분인데, 콕 찝은 질문 감사합니다~

    답글삭제
  5. @꽃미남 - 2009/11/09 22:56
    기아 차량의 경우 솔직히 홀대받는게 사실 인것 같습니다, 실제로 모닝과 몇...차종에선 차이가 있고요.

    하지만 그게 꼭 품질과 귀결되어 단가 절감 때문에 그렇지도 않습니다 ^^;

    더 정확하게 말 하려면...대외비 ㅎㄷㄷㄷ

    확실한건, 품질은 차이 없다! 라는 것 입니다^^

    답글삭제
  6. @Wraithverge - 2009/11/09 23:07
    그 이외에도 전조등(블랙베젤된 수출형)이라던가, 차 폭등이 내장된 테일램프 등...여러가지랍니다^^;

    답글삭제
  7. 전에 투카탈때 라디에이터는 확실히 내수형과 사이즈가 다르더군요.

    그래서 싼맛에 좀 더 큰거 넣어서 효과보고자 사용했던 기억이..



    근데, 최근 케이님 글 뿐만 아니라 여기저기서 들리는 얘기들 보면 좀 실소가 ㅡㅡ;;;;

    정작 차량관리라는 거에 대한 개념이 고작 세차해주고 오일갈아주는 수준에 머물러 있는 사람들이,

    뭐가 중요하고 어떤게 우선인지도 모른체 핏대세워가며 키보드만 두들기는게 많네요..

    (이래서 제가 블로그 따위 안합니다.. ㅋㅋ 그냥 조용히 일기장 쓰지요.. 후훗)



    결론은, 억울하면 역수입해오던가, 이민가서 타던가, 더 좋은차 타면 되는것..

    답글삭제
  8. @김윤성(SOAP) - 2009/11/10 10:10
    안녕하세요~ 오랜만 입니다^^;ㅋ

    라지에이터의 경우 미국이나 더운 지방에 수출되는 차량의 경우 큰 것이 장착되죠~

    저도 투카 터보에 그걸로 250마력을 버텼답니다...ㅋ

    사제 50만원주고 사느니 10마넌으로 그거 사서 좋은 냉각수+커다란 에어댐 구멍으로 해결을..

    결과 수온은 문제 없더라구요..ㅎㅎㅎ[한쿡은 그만큼 덥지는 않아서.^^]



    저도 이 블로그 따위?! 를 안 해보려 했지만...윤성님처럼..소중한 댓글과..

    블로그 방문해 주고 나름 사랑(?)ㅎㄷㄷ 해주시는 분들 덕분에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요즘엔 그나마 편해진것이 악플러들은 그대로 읽어보지도 않고 IP차단 시키고 있답니다^^;

    항상 행복하시고 건강+@기억하세욧~

    답글삭제
  9. @레이나도 - 2009/11/09 22:50
    정말로 단순히 법규 때문일꺼라고는 생각지 않습니다. 핑계일 뿐이죠. 미국에서는 법규때문에 3세대 에어백을 기본으로 넣으면서 가격은 국내보다 저렴하게 판다! 그러면 국내 소비자들이 뭐라 생각 할까요? 당연히 국내에서는 원가절감때문에 그렇게 단다고 생각지 않을까요?

    답글삭제
  10. @레이나도 - 2009/11/09 22:50
    생각이야 주관적이고 자신이 가진 정보를 토대로 하는 것 이므로 상관 없다고 생각 합니다^^;;

    하지만,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고..다른 나라의 회사들도 그렇게 수출을 하거든요.

    열 받지만 사실인걸 어쩝니까 TT;

    답글삭제
  11. 300C 한국에 수입되는건 배기량 상관없이 다 58토크용 변속기에 430마력짜리 구동계 들어감, 물론 브레이크도 Police Package(Performance Brake package)기본사양,,,, 근데 현지에선 V6모델 사면 브레이크도 솔리드 디스크(뒤)-_- 들어가고 앞바퀴는 1피 브레이크(차가 2톤인데) 넣어줌

    답글삭제
  12. tkfkdgody독설가님 ㅋㅋ 이제 부터 차단인가...컥



    H사에서 전산으로 처리하기 전에는 공장에 들어왔던 납품 트럭이 고대로~ 물건 가지고

    다시 나가서 판매한적도있었죠. 위조 사인등...

    내수 외수의 문제가 아니라 단지 돈이 되기 때문에 내부에서 이뤄진 일이 아닌가싶네요.

    여튼 내수 외수가 다를 수도있고 같을수도 아닐수도있지만 근거없는 막연한 믿음은 가

    져서는 안되는거죠.

    딱히 할말은 없지만 관심받고 싶어 글 남겨요...이러고 ;ㅁ;

    답글삭제
  13. @RoyGoodMan! - 2009/11/10 22:20
    제가 하고 싶은 말을 간추려서 해 주셨네요.^^; 감사!!

    IP차단 무한 방지 티켓 발행 ㅎㄷㄷㄷ

    자동차 분야 일은 아니지만, 제 전공인 토목에서도 그런 일 꽤나 많답니다.ㅋ

    철근운반 차량에서 그런일 종종 있었지요....ㅎㄷㄷㄷ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