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중이동편..
자동차의 하중이동은 참으로 중요합니다.
하중이동만 능숙하게 한다면 순정차량으로도 에프터마켓 튜닝된 튜닝카에 준하는 수준의 코너링도 가능하며..
종발이 타입의 부드러운 서스펜션을 가지고도..일체형서스펜션의 코너링 이상도 가능하지요,
물론 그러한 드라이빙을 할줄 아는 사람이 튜닝된 차를 타게 된다면 당연하게도 압도적인 퍼포먼스를 보이겠지만,..
제가 말 하는 전제는 하중이동을 하는 노멀차 드라이버 vs 하중이동을 못하는 튜닝카 드라이버의 경우를 빗대어 말하는 것
하중이동은 보통 핸들링,악셀링,브레이킹,라인을 가지고 적용을 하게 됩니다.[기본적으로 차량의 중량+중력을 잘 느껴야 하지요.]
공도 기준으로 하중이동 학습에 대한 성과는 기본적으로 부드러운 서스펜션을 가지고 있는 차량에서의 효과가 두드러지며.
개인적으로 튜닝한 차량의 단단한 서스펜션이 부담스러운 분들께 정말 적극적으로 추천하는 트레이닝+공부 부분.[드라이버 튜닝.]
튜닝을 하더라도 본격적인 하드코어 와인딩or기본에 충실한 드라이빙을 필요로 하는 드라이버들에게도 도움이 될것입니다^^;
자...예를 들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일단 좌-우로 슬라럼을 예로 들어 봅니다...특히 고속주행상황에서 빠르게 차와 차 사이를 좌,우로 헤집고 다니는 위험한 운전이죠.
이때 핸들링이 좋지 않은(하중이동) 사람은 차량의 거동이불안정하며 리어 부분을 흔들 거리며 기우뚱하며 달립니다.
심한 경우는 차량이 좌-우로 차량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Yaw]움직임을 보이기도 합니다.[위험한 상태-스핀의 가능성 내포]
하지만, 하중이동을 능숙하게 하는 사람들은 순정의 출렁거리는 서스펜션으로도 매우 부드럽게 물 흐르듯 주행이 가능합니다.
이는 차선 변경전 핸들링을 하며 변경포인트에 맞추어 악셀량증가...그리고 차선에 들어가며 핸들링을 끊어주면서.
순간 악셀을 오프하여 자세를 잡는 리듬등..부드럽게 하을 옮겨주는 것에 대해 능숙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하중이동을 통해 하중을 전-후-좌-우[대각선 포함]로 이동시키며
차량의 이상움직임[롤링-요잉]에 대해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
명심할것은 하중의 방향이 바뀌었다고 하중이 이동된것은 아닙니다. 타이어,서스펜션,하체 부쉬류등의 탄성으로 되돌아가기도 합니다.
말로 설명하긴 쉽지 않기에...한번 그림과 동영상을 보며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죠^^; [좌코너] 동영상 참고 하중이동표..
좌측, 가-감속이 없는 상태는 정지해있거나, 주행중 속도의 편차가 없이 탄성 주행하고있는경우..
전,ㅎ,좌,우 횡G값의 변화가 없으므로 ....0G 그 외에 빨간막대기는 횡G방향을 표시함..
구체적으로 각 G값의 퍼센테이지등은..여기서 열거하기에 상당히 난해하므로 패스하고..
아래의 동영상을 본다는 전제하에서...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만들어 본것임..
영상에 보게되면 엘리제가 좌 코너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선회하면서 횡G의 분포와 횡G의 양을 표시하는데..
후륜구동이므로 FF나 AWD와는 다소 다른양상을 보이나..
기본적으로 4바퀴를 가진 자동차인이상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영상을 보고 느껴보시길..
참고로 트레일 브레이킹에서 볼때..트레일브레이킹은 코너내에서 브레이크를 밟고 리니어 하게 조절하는데
그 이유가 영상에 확실하게 표시되어 나옴..
하중이 뒤로 빠진 언더스티어 상황에서 전륜에 접지력을 실어주기 위해 브레이킹을 하며...
(약간은 오버를 유도하는 느낌으로 말이다!위에 말했듯 제동을 한번 해서 차량이 쏠렸다고 하중이동이 된것은 아니다.!)
전륜의 접지력을 살살 살려주며..CP점까지 물고들어가는 기술이다. [하중이 쏠리면 기본적으로 접지력이 향상.열화되기전까지]
CP점 부터는 다시금 악셀을 밟고 코너탈출을 해야 하기에..
브레이킹을 가지고 들어가던가,혹은 천천히 떼어나가면서...전개하는 기술이다.[핵심은 앞 바퀴 트래드 패치+하중 증가]
차량의 기본적인 하중이동방법은 역시..악셀,브레이킹의 능동적인 전개이다.
악셀을 밟으면 가속이 되며 앞쪽이 들리곤한다[스쿼트]...하중이 뒤로 쏠리는것이다.
반대로 브레이크를 밟으면 앞이 가라앉으며[노즈 다이브] 하중은 앞으로 쏠리게 된다..
이 두가지 사실을 염두해두고... 한가지 더 알아두어야 할것은 원심력에 대응하는 핸들링의 조타량[핸들을 꺽은 만큼]에 따른
타이어의 접지면의 변화[횡G를 받는 외측 타이어의 접지력이 내측 타이어에 비해서 월등하다는것]등을
접지력과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핸들링을 통한 좌-우의 하중이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염두해두어야 한다.
좌-우 하중이동을 생각할때..쉽게 이해 하려면 스칸디나비안 플릭 이라는 기술을 생각해보면 되는데.
스칸디나비안 플릭 이라는 기술은 핸들링을 통한 극적인 하중이동으로 차량의 하중 방향을 순간적으로 바꾸며.
4륜을 모두 드리프트 슬립앵글로 집어 던지는 기술이다.[접지력 상태와 코스에 따라서 제동도 들어갈수 있다]
위의 영상이 스칸디나비안 플릭[Scandinavian Flick]이라는 기술이며 순수히 핸들링만으로 진행방향대비
좌-우의 하중이동을 극단적으로 이동하여 차량의 스티어링 특성[주행 방행-조타량모두]을
순간적으로 바꾸는 기술이 됩니다. 물론...이러한 기술이 안전하거나..더 빠른 주행은 아니지만.
"하중이동"이라는 테마를 가지고 연습(공부?)를 할때 이런것도 있다는것을 이해하고 좀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드라이빙 스킬을 키우는것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 합니다.
일단 이정도로 하중이동이 어떻게, 어느 방향으로 되는지 이해를 도울수 있는 자료를 마치겠습니다.
의도와는 다르게 의사 전달이 확실히 되지 않은것 같음에 아쉽지만, 제가 표현할수있는게 이정도가 한계네요.
일단 제가 결론적으로 하고 싶은말은 ..적극적인 하중이동이야 말로, 차량의 본격적인 코너링 성능을 극대화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하중이 어디서 어떻게 이동되는지 알고 시작하는것이 좋다는 생각이기에..
한번이라도 깊게 생각해보시길 바라는 뜻에서 작성하였습니다^^;
[기존 케이의 다음 블로그에서의 내용 발췌및 수정보완-2009-07-08]
스칸... 어쩌고 하는건 역시 입에 잘 붙질 않아 =_=;;; 기억도 잘 안나고... 그냥 관성 드리프트... ㅋㅋㅋ
답글삭제@아므로 - 2009/07/08 19:51
답글삭제왜 제마음을 몰라주세욧!!
관성 드리프트보다...더 있어보임..ㅋㅋ
scandinavian flick !! 페인트 드립하면서 브레이크+악셀 해서 드라이브트레인에 파워 pre-load 하는거 맞죠,,?
답글삭제뭔가 저 영상에 나온데처럼 넓게 차 막 던져볼수 있을만한데가 없을려나??
답글삭제나도 파워 드리프트건, 리프트오프 드리프트건 좀 과감히 차 좀 날려보고 싶은데..
항상 그립주행만 하다보니까, 차가 날아갈 경우에 대비한 훈련이 안됨(핑계)
그나저나 조만간.. 태백에 라이센스 따러 한번 갈 생각.
이왕 이렇게 된거.. 나도 태백이나 달려볼까 싶기도 한데(주말엔 처자식에게 묶여있으니 시합같은건 절대 무리지만).. 같이 라이센스나 따볼래?
@S2000아저씨 - 2009/07/09 06:12
답글삭제서킷 라이센스 따위(?!)는 관심 없고요..ㅋ
따신 다면 같이가서 생각해보고 딸지도 ..ㅋㅋ
일단 연습할만한 장소는 제가 자주가는 흙바닥 공사장..
그 외엔 한적한 낮시간..여주 강변 유원지가 있겠네요^^
다소 덥긴 하겠지만..그래도 대낮엔 사람들이 없으니까요
물론, 평일 기준임^^;;
@5654cc - 2009/07/09 04:17
답글삭제사실 스칸디나비안 플릭[관성드리프트]에서
악셀과 브레이크는 별 의미가 없죠.
기본적으로 차량의 하중을 핸들링을 이용해서 이동시키는
고차원(?)적인 기술이기에...
다만 노면 상황에 따라서 접지력 확보를 위해서
[예를 들어 오르막이나,눈길-빗길등]제동을 하기도 하고.
진정한 4륜 드리프트를 위해 노 카운터 상태에서
악셀로 조정하기도 하던데...
그 단계는 이미 아마추어 단계가 아닌듯..ㅋ
제 블로그에 자주댓글 다는
뵨태S2000아저씨가 FF로 그거 잘했습니다.
정작 옆자리에 저는..."그냥저냥 무덤덤"하여.
가슴앓이 하게 만들었었던"형은 원래 이런거 잘해요~"ㅋ
저라면 빗길의 아스팔트 도로나,흙바닥에서 해보는데
실제로 와인딩에 써먹을 목적보다는.
감각 향상및...장난용으로 ㅋㅋ
@S2000아저씨 - 2009/07/09 06:12
답글삭제아직도 있는진 모르겠는데 문막 발보린에서 훈련하는 르노 F2000팀 코스를 들으면,, 교육과정중에 헬멧, 슈트, 장갑, 및 차량!!! 포함입니다. (2.0L 4기통180마력 MR, 450kg인가?) 비용은,,, 한달 교육시 한달 최저임금보다 쬐끔 더 비쌉니다... ㅋㅋ 4년전엔 확실히 있었습니다. 1년계약까지..
저 아래쪽 스플 차 전륜이죠? AWD나 후륜의 경우 악셀밟으면 엉덩이가 더 휙 돌아갈텐데 -_-;;;;;;;
답글삭제@5654cc - 2009/07/10 08:03
답글삭제전륜이라고 생각 합니다~
리니어한 컨트롤이 안되는걸 보면..ㅋㅋ
운전자인 티프엉아의 실력에 저정도 출렁이는걸 보면..
FF가 확실함.ㅋ
궁금한게 갑자기 생겨서,, ㅋㅋ 일체형 23k(300C 용 유일한 일체형이 앞 23 뒤 15랍니다 -_-;;)를 끼우면,, 브레이크를 똑같이 밟을때 1cm 노즈다이브가 생기고,, 순정일경우(앞 13 뒤 9) 7cm가 생긴다고 할때,,,,,,, 차가 기울어지는것과 무게이동은 관련이 없나요?? 그냥 네모난 물체를 기울여서 들면,, 낮은 쪽 팔이 더 아픈데.. ㅎㅎ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