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7월 10일 금요일

현대자동차 아반떼 LPI 하이브리드 자동차[LPI Hybrid,blue drive] 블루 드라이브의 모토로 친환경을 말하다!

현대 자동차에서 이번에 세계최초
LPG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출시되었습니다.
그 첫 작품은 바로 아반떼 LPI 하이브리드...
기존에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세계자동차 시장에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휘발유[Gasoline]과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번 아반떼 LPI하이브리드의 경우는 휘발유에서,
LPG로 연료가 대체 되어서 LPI하이브리드 라고 하며,
사실상 특허 문제로 그렇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물론 휘발유 차량과
LPG차량의 유사성으로 볼때 가솔린 하이브리드의 기술력도
이미 가지고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일단 하이브리드 차량은 항상
내연기관과 전기모터가 함께 작동되지 않습니다.
적재 적소에 스스로 판단하여 작동되며. 일단 아래의 간략한 그림을 먼저 보시죠 [출처:현대자동차 홈페이지 www.hyundai.com]

위에 그림에 보시면 17.8km/l의 우수한 연비라고 합니다.

실제 기존의 디젤 차량들에 비해서 연비가 좋지 않기에 획기적이지 않다고는 볼수 있지만,
휘발유와  LPG연료의 가격차이를 감안할때 약 34km/l정도의 연비로 환산이 가능하다고 합니다.[연료비 개념에서 말이지요^^;]

특히 가속시에는 내연기관 엔진과 전기모터가 같이 작동되어 종래의 동 배기량 차량에 비해서 마력과 토크가 높습니다.
요즘 일반적인 1.6liter 가솔린 엔진이 110~124ps의 출력을 보이고 있습니다..예전에 비해서는 상당히 상승한 수치이지요^^

현재 LPI하이브리드 1.6liter 배기량을 지닌 엔진의 성능은
114ps의 LPG내연기관과,20마력급(15kw)의
전기모터를 통해 동급 최강 134마력에 육박 합니다.
다소 마음에 드는게 정차시 자동적으로 엔진이 정지되는 점인데,
이를 통해서 약간의 연료 소모마저 방지합니다.[덕분에 그림처럼 CO²배출량도 낮습니다^^;]
이는 속도 정지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있을때 작동되며,
브레이크 페달에서 발을 떼고 악셀에 발이 놓일때쯤엔 이미 전기모터에 의해 시동이 걸립니다.

또한, 최고의 연비를 위해서 기존의 현대차량처럼 오토미션이나 스틱 미션이 아니고
CVT미션[무단변속기]을 채용했습니다.
스틱미션이 분명 연비와 내구성,단가면에서 유리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자의 기준에서 평준화된 연비 성능을 가지려면..
CVT는 현명한 선택이란 생각이..마티즈의 경우 CVT미션 내구성이 좋지 않았지만,
지금시대 기준으로 다른 회사이지만..
"삼성의 QM5"만 봐도 예전과는 비교도 못할 성능임이 분명한 기술입니다.
일단 연비도 좋지만, 변속 충격이 없다는것 역시 장점 입니다^^;


안전성면에서도 여러 모로 보완이 되어있으며, 요즘차들의 기본 옵션인 ABS가 당연히 장착되어 있고.
에어백의 경우 운전석,조수석에 설치되며 또한 커튼 에어백도 제공됩니다,
한가지 특징적인건 디파워드 에어백이 설치된다는 것입니다.[르노 삼성 광고처럼 충격량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는 에어백]
외형은 기존의 아반떼 HD를 답습하며..상당 부분 변경이 있습니다.
일단 외형적으로 라이트 부분이 가장큰 변화일텐데..
아우디 R8이후로 세계적 트랜드(?)인 라이트 하단부 LED가 있습니다.
그리고 범퍼와 몇몇 부분의 외형변경[사이드 스커트 부분이라던가.]
일단 전면부 그릴이 좀더 커진 느낌인데..
아마도 모터의 냉각을 위해서일듯..
기존의 전기 자동차의 경우도 열발생이 상당 합니다^^;;
휠이 작은건...역시 연비를 최우선 고려한 영향이^^

일단 시승을 해보지는 못했고, 인터넷에 나름 저명한 드라이버 분들의 시승기를 읽고,
현대 자동차 홈페이지의 자료를 토대로 작성한 글이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현 시점에서의 하이브리드 차량은 상당히 매력이 있다고 생각 합니다.
어차피 기름값 신경 안쓰는 대형 차량오너들은 논외로 하더라도[물론, 속 쓰리겠지만.ㅋ]...
경제성과 안전성에서 타협하여.준-중형 승용차를 타는 오너들에게는 상당히 매력있는 차량이라고 생각 합니다,
물론 실질적인 퍼포먼스 주행은 힘들겠지만..
실생활에서 필요한 기능은 다 갖추고 있으니 가히 현 시점에서 "디자인 빼고"최고의 차중에 하나라고 생각 합니다.

참..이차 단점도 있습니다.
-정차시 시동꺼짐과 동시에 에어컨 오프
-배터리 탑재로 인해 트렁크 공간 협소
이 두가지와,...마음에 안드는 라이트 빼고 성능 부분과 획기적인 면에서는 일단 강추 ^^;

 

댓글 1개:

  1. 에어컨 꺼짐은 상당히 큰 단점인데요?

    여름철 꽉막힌 시내도로나 휴가철 고속도로 정체시에는 죽어나겠군요..ㅋㅋㅋ

    시동이 안꺼지게 설정하는 수동전환스위치가 있어야할듯..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