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차를 운전 하는 그 어느 누구도 자유로울수 없는 문제 이다.
제 아무리 연비좋고 친환경적이라는 하이브리드카,전기 자동차라고 해도 그 생산과정과 유지-보수를 하며 오염물질은 끝없이 배출 되니 말이다.
하지만, 그러한 오염물질은 결과적으로 우리 인간이 자기 스스로 목을죈다는 걸 인식 하고 "촉매"라는 것이 생겨 났다.
화학 작용을 통해 안정화되고 그나마 덜 해로운 물질로 바꿔 주는 "환원촉매"이다.
특히 이 촉매라는 장치에서 중요한 부분을 찾이 하는 금속이 있는데 ...바로 백금이다.
백금은 원석 채취부터 최종 부산물의 생성 까지 꽤나 여러 과정과 시간을소요 하며 , 그 비용도 상당하다.


[좌측의 사진은 매니폴더 교체후 촉매위치이동된 모습] [우측의 그림은 촉매의 환원 작용에 대한 간단학 원소기호 표시]
의외로 많은 수의 튜닝카가 촉매를 완전히 제거 하거나, 2개의 촉매가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경우 한단계의 촉매를 제거 합니다.
특히 자연흡기[NA]방식에서보다 과급기 튜닝된 터보 차량에서의 경우를 쉽게 볼수있지요.
이유는 간단한데,
출력 향상,배기온 하강,비용의 절감[스포츠 촉매의 가격은 살인적 입니다]가 주류를 이룹니다.
물론 맵핑 기술에 따라서 촉매를 제거 하고도 촉매 장착 차량처럼 배기가스 규정치를 지킬수 있다고도 하지만,
과거의 기준일뿐 ,.. 현재의 강화된 배기가스 규제에는 대응하기 힘들다고 생각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의 편의와 만족만을 위해서 우리 모두의 것인 환경을 파괴하는건 중죄라고 생각 합니다.
더욱이 약간의 비용은 지출되더라도[스포츠 촉매가 되겠죠] 최대한 오염을 줄일수도 있는 방법이 있음에도 그러니 말입니다.
하지만, 막상 그네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자기네는 죄 없다고 말하곤 합니다.[어차피 노후된 차량들도 마찬가지고......]
배기가스로 치자면 대형 화물차들이 더 하지 않냐고 하지요,.
실제로 배기가스 양은 분명 대형 화물차들이 더 많은건 사실입니다. 헌데,실질적인 위험요소가 강한 화합물은
촉매없는 가솔린 차량에서 그 발생 빈도가 더 높지요,. 이는 모르면서 그저 눈에 보이는 매연만 가지고 이야기 하는 것입니다.
같은 배기량을 기준으로 할때 가솔린 차량이 디젤 차량에 비해 이산화탄소와,발암물질 발생률이 높습니다 -_-;
특히나 유럽의 경우 발전된 친환경 디젤 엔진 개발에 노력을 하는것도 고연비와,이처럼 친환경적이기 때문 입니다.
물론 그 검은 매연은 -_-;;; 저 역시 할말 없지만....눈에 보이는 매연보다 눈에 안보이는 개솔린 가스가 더 문제라는것이죠.
특히나, 촉매제거의 경우 분명한 불법이며...후행 차량에게 각종 발암물질과 창문 개방시 눈이 따가울 정도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데도...전혀 미안한 마음도 없는 사람들도 많지요..
이러한 이유때문이라도 어떠한 이유를 들더라도 촉매를 제거하거나, 감소 시키는 행위는 근절 되어야 할것입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배기가스 배출에 대한 규제는 앞으로 더욱더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실제로 그것이 전세계적 대세!!]
글 도입부에도 언급했지만,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오염물질 배출은 운명적입니다.
하지만, 그것에 대한 책임은 우리 인간이....더욱이 아무런 죄도 없는 후세가 져야 하기 때문에,
더 늦기 전에 지금 부터라도 강력하게 단속및 규제를 해야 한다고 생각 합니다.
P.S 물론 오래된 차량의 경우 배기가스 배출이 분명 문제가 되는데 이는..
좀더 제도권으로 문제를 올려서,..자동차 메이커와 정부에서도 발벗고 나서야 할 문제라고 생각 합니다.
오래된 차량에 대한 정기검사를 좀더 강력하게하고, 검사시 규제 수치도 좀더 확실하게 낮추어 적합하지 않은 차량은
폐차및 수리를 하게 하여야 하겠지요, 개인적으론 차량의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함에 원성을 살수도있겠지만,
범세계적으로 볼때 우리가 살고있는 이 지구를 복구시키려면 그보다 비교조차 못할만큼 엄청난 비용과 노력이
들기 때문 입니다.
물론, 향후 출시되는 자동차는 친환경[전기,수소,재활용에너지등.]화 되어 오염물질 배출을 극도로 감소시키기도 해야겠고요^^;
이해는 가지만... 사실 기준을 따지자면 대기오염관련 법규로 인하여 규정을 맞추지 못하고 단종된 모든 차량이 다 도로를 달리면 안되는게 정석이지 않을까? ^_^ (02년 이전 스포츠카들 거의 90% 이상에... 일반차들도 다수... T_T) 나야... 로터리 차량을 끌고다니기에 머 할 말이 없음... =_=; 촉매 달아도 소용없음... ㅋㅋㅋ
답글삭제그러게요,,, 배압 내리려고 순정촉매 2개짜리를 2개씩 병렬해서 스포츠촉매4개 하려다가 가격에 ㅎㄷㄷ;; 촉매 내리는게 언제부터 튜닝이었나요 -_-?? 그건 생각도 안해봤는디.. 고런 차들은 교통경찰이 길에서 냄새맡고(냄새로 구별 되니까) 현장적발해서 차를 압수해버려야 ㅋㅋㅋ 정신차리겠죠?
답글삭제@아므로 - 2009/06/23 21:03
답글삭제그게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성이 낮아서 문제겠죠.
하지만 앞으로의 차량들에 대해서는 그러한 환경부분이
정책적으로 강화 되는 추세이고, 노후차량은
교체시 요즘처럼 다소 보상이 된다면 효과적이라
생각 합니다.
그 이상은 나라 재정상 힘들고, 오래되었다고
이미 타고 다니던 차를 폐기 할수도 없으니 말이죠.
하지만, 일부러 그러는건 문제가 있다고 보는겁니다^^
글재주 없는거 아시면서 테클은..ㅋㅋㅋ
@5654cc - 2009/06/24 01:34
답글삭제하지만 이땅에 수많은 양카에게 그런 소리는..
"우이독경"이지요.ㅋ
카더라 통신으로 인하면
답글삭제흔히들 스포츠 촉매로 말하는 미국산 사제 촉매들은
국내 환경규제에 맞추지 못할 뿐더러 유해물질 감소량도 상당히 적다고 하네요
하나를 얻게되면 잃는것이 있는 것처럼 출력을 위한다면 유해물질 필터링 하는 부분이 약해질 수 밖에 없는건 맞을 듯 하구요
튜닝을 한다면 가급적 스포츠 촉매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순정촉매를 가공해서 사용하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
@음 - 2009/06/24 11:59
답글삭제넵..순정 촉매 가공이 가장 저렴한 비용이죠^^;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본문에도 그러한 내용이
있어야 했는데...^^;
촉매 병렬연결~~~ 한 10개 -_- ;ㅋ 히히
답글삭제궁금한게있는데 적을곳이없네요 ㅡㅡ ..
답글삭제순정차량에 아무맵핑없이. 터보킷을 셋팅한다면 일반적으로 부스트 1바가아닌 0.1~0.9 사이의 알맞은 셋팅을 하게된다면... 엔진이 블로우 되는일 없이 운행을 할수가 있을까요?? 이곳저곳 보면은. . 안된다는말이 더만은거같은데... ㅡㅡ 그에대한자세한 내용들은 잘보지못한거같다는 생각.... 전에들었었는데.. 샾에서 터보셋팅하고서.. 그샾에선 맵핑이 불가하여.. 그차량을 운행하여서 다른샾에서 맵핑을 진행하였다고하는...
일반적으로 보면은. ㅡㅡ.. 오픈필터를 꽂았을때 이씨유 리셋시키고 아이들시키면.. 알아서 안정값을 찾는 거같던데.. 이것두이와같은 방법으로 진행한다면 ㅡㅡ 맵핑이 안된상태이기에.. 부스트걸렷을때엔 고알피엠을 쓰면서 주행을할수있지안을까요?? 대기압 1 + 터보킷 0.5 정도
그럼. 대충 차량마력이 100마력이라고쳣을때.. 마력이 상승을 기대할수있지안을 까 싶기두하고요.. 그런가설을 생각하는데 그런거라면.. 부품모아서 집에서 해보고싶은데... K님생각은 어떠신가요?
말도안되는 이야긴가요?? 분명 순정 상태에서 버텨넬수 있는 포인트가 있을텐데 ㅡㅡ.. 순정차량의경우.. 알피엠컷 6500이잔아요 레드존은 8천까지있는데.. 그럼.. 1500알피엠정도는 안전하게남겨두는 것인지도.. ...
@saico crazy Y - 2009/07/07 05:50
답글삭제일단 찜빠 없이 주행은 가능할겁니다.
"압축비 변화가 없다는 전제하에".
다만 그 주행이란것이 풀로드[풀악셀]을 배제 하는거죠.
과급압에 따른 엔진내부 온도상승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가 관건인데.
신선한 공기 유입[인터쿨러]외에도
연료량으로 조절된다는걸 잊으면 안되겠죠.
BK의 경우는 맵핑전에도 살짝 살짝 부스팅이
되더라구요...그만큼 똑똑한 ECU..
하지만 그래도 "맵핑"은 "최적화"라는 관점에서
당연히 실시해야함.